미-중 정상회담
오바마, 중국 인권문제까지 거론
오바마, 중국 인권문제까지 거론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 성패의 열쇠를 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11일 오후 양자 정상회담을 열어 환율 문제 등을 집중 논의했다. 두 정상은 양국관계 개선과 협력을 강조했지만, G20 정상회의의 최대 의제이자 양국의 이견이 뚜렷한 위안화 절상과 무역불균형 해결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합의를 내놓지 않았다. 회담에서 두 정상은 위안화 절상, 내년 1월 후 주석의 미국 방문, 북·이란 핵문제 등 다양한 글로벌 이슈를 둘러싸고 치열하게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회담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중국이 보호무역주의를 촉발시키고 세계 경제 회복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무역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해 위안화를 절상해야 한다고 공세를 가했지만, 후 주석은 자율적이고 점진적인 위안화 개혁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로버트 깁스 백악관 대변인은 회담이 끝난 뒤 기자들에게 “회담의 상당 부분이 환율 문제에 할애됐다”고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이 환율 문제를 먼저 제기했으며, 중국이 환율 결정에서 경제 펀더멘털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라엘 브레이너드 미 재무차관이 밝혔다. 이에 대해 후 주석은 환율 유연성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명하고 지금까지 이뤄진 위안화 절상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브레이너드 차관은 전했다. 마자오쉬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후 주석이 ‘환율개혁을 추진하겠다는 중국의 결심은 변하지 않았지만 그것은 건전한 외부환경 속에서 점진적으로만 이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고 밝혔다.
한반도 안보와 관련해서는 오바마 대통령이 북한이 한국과 관계 개선을 하고 성의 있는 비핵화 조처를 취하도록 중국이 압박을 가해야 한다고 강하게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바마 대통령은 그 밖에 정치범 석방과 표현의 자유 등 인권 문제도 제기했지만, 올해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중국의 인권활동가 류샤오보를 직접적으로 언급했는지는 미·중 두 나라 모두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이날 두 정상의 회담은 애초 예정 시간을 넘겨 1시간20분 동안 진행됐다. 회담 뒤 마자오쉬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양국은 상대방의 핵심 이익을 존중하며, 계속 건전하고 안정적으로 중-미 관계를 발전시키기로 했다”고 밝혔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길윤형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