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검토’ 김태영 국방 발언, 서둘러 진화
미국은 전술핵무기를 한국에 재배치할 즉각적인 계획은 없다고 미 국방부가 22일(현지시각) 밝혔다.
데이브 라판 미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에게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 가동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한국의 전술핵 재배치 문제에 대해 “미국과 우리의 국제 파트너들이 새로운 정보(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 가동 주장)를 접하고, 어떤 조처를 취할지 논의하고 있다”며 “어떤 구체적인 조처에 대해 말하는 것은 아직 이르다”고 말했다. 라판 대변인은 전술핵무기의 한국 재배치가 미국이 고려하고 있는 여러 방안들 중 하나인지에 대해서도 답변을 피했다.
앞서 김태영 국방장관이 국회에서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 공개와 관련해 미국의 전술핵무기를 한국에 재배치하는 방안을 미국과 검토해 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미 국방부는 사실상 반대의 뜻을 서둘러 나타내 논의가 진전되는 것을 막으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전술핵무기의 재배치는 가뜩이나 고조된 한반도의 핵 긴장을 더욱 끌어올릴 수 있을 뿐 아니라, 미국이 북한에 대해 비핵화를 압박하면서 전술핵무기를 재배치한다는 것은 논리적으로도 맞지 않고, 한반도 비핵화에도 역행하기 때문이다.
필립 크라울리 미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 공개 뒤 한-미간에 미 핵무기의 한국 재배치 협의가 있었느냐’는 물음에 “이번 건의 결과로 우리 군의 태세에 변화가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고 말해 사실상 부인했다.
한국 국방부는 김 장관의 발언에 대해 “가능한 모든 대응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는 취지였다”며 “실제 전술핵 배치를 고려한 바 없고, 한-미 사이에 구체적인 협의 사항도 없었다”고 해명했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권혁철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