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일 대북 경고 메시지
백악관 “동맹국과 조처 논의”
백악관 “동맹국과 조처 논의”
북한이 ‘광명성 3호’ 로켓에 연료를 주입하기 시작하는 등 발사가 임박해지면서 미국이 연일 전방위로 대북 경고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10일(현지시각) 북한이 장거리로켓 발사 계획을 강행하면 적절한 조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클린턴 장관은 이날 국무부에서 겐바 고이치로 일본 외무상과의 회담 뒤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주민들의 평화롭고 더 나은 미래를 원한다면 역내 안보에 직접적 위협이 되는 발사를 강행하지 말아야 한다”고 계획 중단을 촉구했다. 그는 또 북한의 로켓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것이라며 “각국 정부와 유엔(UN) 등에서 긴밀하게 이 문제를 협의하고 있으며, 적절한 조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플로리다주 팜비치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미사일 발사와 같은 도발을 감행하면 동맹국들과 다음 조처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며 “동맹국들과 지속적으로 공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북한에 영향력을 가진 나라들에 (북한을) 설득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며 중국의 역할을 강조했다.
수전 라이스 유엔주재 미국대사는 북한이 로켓을 발사하면 즉각 안보리를 소집해 결의를 깬 대가를 북한에 단호하게 요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국은 또 북한 초청으로 로켓 발사 준비 현장을 취재, 보도하고 있는 미국 등 외국 언론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내비쳤다. 빅토리아 뉼런드 국무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선전 목적으로 이용하고, 언론사들이 이를 광범위하게 취재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며 “취재하면 할수록 주요 뉴스로 보도되고, 이는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앞서 토미 비에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도 지난 9일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로켓 발사와 관련해 언론을 이용하고 있다며 “기자들이 말려들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북한의 로켓 발사 계획으로 인해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 전략에 대한 비판론이 일고 있는 것에 대해 오바마 행정부 관계자들은 “(3차 북-미 회담 등) 대북 협상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이날 밝혔다. 또다른 당국자는 “회담 당시 우리는 ‘우주 발사체’가 협상 파기 요인이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주장했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전두환 부인 이순자씨 “연좌제도 아닌데, 아들이 대납 못해”
■ 강남을 정동영 캠프 “투표율 너무 낮다” 탄식
■ 149명 탄 대한항공기 ‘폭파위협’ 캐나다 비상착륙
■ 노원 간 김어준 “쫄지마 돼지, 수고했어”
■ 도 넘은 이포보 취재 방해…휴대전화도 빼앗아
■ 전두환 부인 이순자씨 “연좌제도 아닌데, 아들이 대납 못해”
■ 강남을 정동영 캠프 “투표율 너무 낮다” 탄식
■ 149명 탄 대한항공기 ‘폭파위협’ 캐나다 비상착륙
■ 노원 간 김어준 “쫄지마 돼지, 수고했어”
■ 도 넘은 이포보 취재 방해…휴대전화도 빼앗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