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이란, 여러차례 공격” 보도
이란연계 해커, 디도스 공격등 감행
미국의 경제제재에 보복 나선듯
‘사이버보안법’ 여론몰이 성격설도
이란연계 해커, 디도스 공격등 감행
미국의 경제제재에 보복 나선듯
‘사이버보안법’ 여론몰이 성격설도
이란이 올해 들어 여러차례 미국과 걸프만 국가들에 대해 사이버 공격을 감행했다고 미국 언론들이 13일 미국 정보기관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앞서 리언 파네타 미국 국방장관은 지난 11일 이란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은 채 “미국이 사이버 진주만 공격을 받을 위험에 처했다”고 경고했다.
<뉴욕 타임스>는 13일 “파네타 장관의 발언 직후 미국 관리들이 이란과 미국이 사이버공간에서 공격과 반격을 주고받는 ‘그림자 전쟁’이 이미 진행중이라고 표현했다”고 전했다.
미국 언론들의 보도를 보면, 이란 정부와 연계된 해커들이 지난 1월 미국 은행들을 상대로 ‘분산서비스거부’(디도스) 공격을 감행했다. 이는 특정 서버에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하는 정보를 한꺼번에 보내 과부하로 서버를 다운시키는 공격 방식이다. 이어 7월에는 세계 최대 원유회사인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에 컴퓨터 바이러스를 퍼뜨려 컴퓨터 3만대의 데이터를 파괴했고, 8월에는 카타르 천연가스 업체인 라스가스를 공격해, 웹사이트와 이메일 시스템을 무력화했다.
이들은 지난달부터 다시 미국 은행들을 공격 대상으로 삼았다. 피해 업체는 뱅크오브아메리카와 제이피모건체이스, 웰스파고 등으로, 이들 은행 고객들은 간헐적으로 온라인 계정에 접속할 수 없었던 것으로 은행들은 확인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미국 당국은 이들의 공격에 특이한 ‘서명’이 있었고 그것을 추적한 결과 이란 정부와 연계된 세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해커들은 이란의 대학이나 컴퓨터 보안회사에 소속된 전문가들이며 규모는 100명이 채 안 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전했다.
이란이 사이버 공격에 나선 동기는 크게 두가지인 것으로 추정된다. 첫째는 지난해 12월 미국이 이란에 취한 경제제재에 대한 보복이다. 이란은 미국의 경제제재로 원유 수출이 반토막이 난 상태다. 미국 은행들은 이런 제재의 선봉장이란 점에서, 아람코는 이란으로부터 원유 수입을 하지 못하게 된 국가에 이를 대체하는 공급자로 나선 점이 직접적 공격의 대상이 됐다는 게 미국 정보기관의 설명이다.
두번째는 미국·이스라엘의 대이란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응 차원이다. 미국·이스라엘은 2008년 이란의 핵시설에 ‘스턱스넷’ 컴퓨터 바이러스를 침투시켜 전체 원심분리기의 5분의 1가량을 파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국은 이란의 사이버전 역량을 중국·러시아·프랑스·이스라엘 등에 못 미치는 2류급으로 분류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외부의 사이버 공격에 대한 방어 위주에서 공격적인 사이버 무기를 개발하는 쪽으로 전략을 수정하고 예산도 대폭 늘렸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이 이란의 사이버 공격을 경고하고 나선 데는 지난 8월 의회에서 공화당의 반대로 통과가 무산된 새 사이버보안법에 대한 여론몰이 성격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법은 정부와 민간기업이 사이버보안 관련 정보 공유를 강제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기업들은 정보 유출을 우려해 반발하고 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단독] 이 “MBC지분 매각 극비리에”…최 “발표는 19일 꼭 해야”
■ [단독] MBC 이진숙 “정치적 임팩트 굉장히 큰 사안”
■ “박 후보가 물러나라고 연락? 없었어…결승의 날 오는데, 나도 한몫 해야지”
■ [사설] ‘장물’로 박근혜 선거운동 하자는 김재철·이진숙씨
■ 정수장학회 비밀회동 대화 취재 ‘도청’ 아니다
■ 자라는 입으로 소변 본다
■ [화보] 손연재, 나비처럼
■ [단독] 이 “MBC지분 매각 극비리에”…최 “발표는 19일 꼭 해야”
■ [단독] MBC 이진숙 “정치적 임팩트 굉장히 큰 사안”
■ “박 후보가 물러나라고 연락? 없었어…결승의 날 오는데, 나도 한몫 해야지”
■ [사설] ‘장물’로 박근혜 선거운동 하자는 김재철·이진숙씨
■ 정수장학회 비밀회동 대화 취재 ‘도청’ 아니다
■ 자라는 입으로 소변 본다
■ [화보] 손연재, 나비처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