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에 맞서 미국을 겨냥한 ‘핵실험’ 의지를 밝혔으나, 미국은 안보리 결의 2087호에 따른 대북 제재를 강행했다.
미국 정부는 24일(현지시각) 대량파괴무기(WMD) 확산 등에 관여한 혐의로 북한 단천상업은행 중국 베이징 지사의 라경수 대표 등 금융기관 관계자 4명과 기업 2곳을 미국의 제재 대상에 추가로 포함시켰다고 밝혔다. 또 국무부는 조선우주공간기술위원회와 백창호 위성통제센터 소장 등 2명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미국, 일본, 중국 등 6자회담 국가들은 당장의 핵실험 가능성을 낮게 보면서도 북한의 자제를 촉구했다. 리언 파네타 미 국방장관은 24일 “우리는 (북한 관련) 정보사항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있다. 밖으로 드러난 징후는 없지만 이것만으로는 알 수 없다. 북한은 실험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미국은 북한의 어떤 도발에도 대응할 대비태세를 갖췄다. 북한이 국제사회의 일원이 되기 위해 바른 선택을 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스가 요시히데 일 관방장관도 25일 “북한이 이른 시일 안에 핵실험을 강행할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중국 <환구시보>는 사설에서 “북한이 향후 핵실험을 하면 대북지원을 지체없이 멈춰야한다”며 북한을 압박했다. 신문은 특히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를 원하지만 한·미·일·북의 요구를 모두 맞출 수 있는 묘수가 없다. 중국은 철저히 국익 차원에서 북핵 문제를 접근해야 한다”며 실용적인 접근을 강조했다.
다만 영국 일간 <가디언>은 “2006년과 2009년 북한 핵실험 때와 패턴이 비슷하다”며 핵실험 가능성을 우려했다. 당시 북한이 ‘장거리 로켓 발사→유엔 안보리 제재→핵실험’을 거쳤던 것과 상황이 유사하다는 지적이다. 신문은 또 이번 도발에 대해 “‘전략적 인내’로 북한에 대해 느긋하게 반응하고 있는 미국의 관심을 끌기 위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전정윤 기자 hyun21@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김용준 총리” 발표에 빵터진 기자실, 무슨 일?
■ 이외수 “그러시라지 뭐”…연고대 교수들 비판에 ‘쿨’
■ 박근혜 측근들 “도대체 누구와 상의하냐”
■ 이동흡, 폴란드 출장 중에 낙산사에 현금 기부?
■ 현대모비스 순정부품 ‘폭리’
■ “김용준 총리” 발표에 빵터진 기자실, 무슨 일?
■ 이외수 “그러시라지 뭐”…연고대 교수들 비판에 ‘쿨’
■ 박근혜 측근들 “도대체 누구와 상의하냐”
■ 이동흡, 폴란드 출장 중에 낙산사에 현금 기부?
■ 현대모비스 순정부품 ‘폭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