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대화메시지 던진 뒤
중국 끌어들여 압박 전략
케리 통해 관련국과 본격 협의
중국 끌어들여 압박 전략
케리 통해 관련국과 본격 협의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각) 중국 국가주석에 선출된 시진핑 주석에게 축하의 뜻을 전하는 전화통화에서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미-중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미국 백악관이 밝혔다. 또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다음달 중순 한·중·일을 방문하기로 해, 권력교체를 마무리한 한반도 관련국들과 북핵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협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백악관은 “오바마 대통령이 아시아와 세계의 경제·안보 현안들을 해결하기 위한 실용적 협력에 대한 확고한 약속을 강조했다. 두 정상은 협력과 조정을 확대하기 위한 정례적인 고위급 대화가 중요하다는 점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북핵 문제와 관련해, “오바마 대통령이 북한 핵·미사일 프로그램의 위협을 지적하며 북한이 비핵화 약속을 지키도록 하기 위해 중국과 긴밀한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13일 방송 인터뷰에서 직접 북한에 대화 메시지를 던진 오바마 대통령이 북한의 선택을 압박하기 위해 중국의 협력을 이끌어내려는 본격적인 행보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시 주석은 큰 틀에서 양국간 협력을 강조했으나, 북핵·북한 문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어떤 태도를 보였는지는 공개되지 않았다. 시 주석은 “중-미 간에 기본적으로 큰 공통의 이익이 있고 약간의 이견도 존재한다”며 “중국은 미국과 서로 믿고 협조하며 갈등을 관리해 중-미 관계를 발전시켜 가길 바란다”고 말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그는 “상호 존중과 포용 정신을 발휘해 태평양 지역을 문자 그대로 진정 태평한 바다, 협조의 바다가 되도록 하자”고 말했다. 또 한반도 상황과 인터넷 안전 문제에 관해 중국 쪽의 원칙을 상세히 설명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중국은 지금까지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평화·안정 중시 △비핵화 지지 △대화를 통한 해결이라는 3원칙을 견지해왔다. 다만 <신화통신>의 보도를 보면, 시 주석이 3원칙 가운데 ‘평화와 안정’을 상대적으로 강조했으리라 추정된다.
북핵 해결을 위한 한·미·중·일의 접근 전략은 케리 국무장관의 동북아 순방을 계기로 가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케리 장관이 이미 협상을 통한 평화적 해결을 강조하고, 오바마 대통령이 중국과의 협력을 통한 압박과 함께 대북 대화 메시지를 이미 밝힌 바 있어, 이런 방침을 이행하기 위해 각국의 협조를 구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북한이 핵실험이나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추가 도발을 하지 않을 경우 대화에 나설 의향을 밝히고 있는데, 북한이 어떤 태도를 보일지가 큰 변수가 될 전망이다.
케리 장관은 방한 기간 중 5월 초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 관련 의제도 조율할 전망이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의 관심사인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문제의 처리 방향이 중요하게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는 14일 시 주석에게 축전을 보내 “시 주석의 영도 아래 샤오캉(소강) 사회를 건설하는 데 더욱 큰 성취를 이루길 바란다”며 “북한은 북-중 우호를 매우 소중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공통의 이익 아래 전통적인 우호 관계를 발전시켜 가길 믿는다”고 말했다고 <신화통신>이 전했다.
워싱턴·베이징/박현 성연철 특파원 hyun21@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오세훈 “주민 57% 개발에 동의”…파산 책임론 반박
■ 하루만에 여당서…“한만수·최문기 부적절”
■ ‘막강 파워’ 미래연구원, 어떤 곳?
■ 승부사 내던진 강호동 소심한 변신
■ 남편과 딸은 서로 좋아 죽는데 나는 미워 죽겠어
■ 오세훈 “주민 57% 개발에 동의”…파산 책임론 반박
■ 하루만에 여당서…“한만수·최문기 부적절”
■ ‘막강 파워’ 미래연구원, 어떤 곳?
■ 승부사 내던진 강호동 소심한 변신
■ 남편과 딸은 서로 좋아 죽는데 나는 미워 죽겠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