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등 국제의무 준수해야”
미-중 정상회담뒤 태도 바꿀수도
미-중 정상회담뒤 태도 바꿀수도
미국 정부는 남북한 당국간 대화 재개를 환영하며 남북관계 개선을 지지하면서도, 북-미간 직접 대화를 재개하기 위해서는 북한이 9·19 공동성명에서 약속한 비핵화 등 국제의무를 준수해야 한다는 기존 태도를 재확인했다. 7일부터 열리고 있는 미-중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북한과의 대화 재개를 강조할 것으로 보여,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태도를 바꿀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젠 사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6일(현지시각) 정례 브리핑에서 “남북한이 개성공단 및 다른 이슈에 대한 대화에 합의했다는 소식을 환영한다”며 “미국은 항상 남북관계 개선을 지지해왔고 동북아시아 지역의 동맹 및 파트너와 지속적으로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북-미간 직접 대화에 대해서는 신중한 자세를 취했다. 사키 대변인은 “남북 대화와 관련한 얘기가 아직 오가는 상황인 만큼 앞서 가지 않겠다”며 “미국과의 대화를 진전시키려면 북한이 취해야 할 여러 조처가 남아 있다. 여기에는 2005년 (9.19) 공동성명에서 합의한 국제의무 준수 등이 포함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6자회담 당사국들을 분열시키기 위해 한국과의 대화를 이용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북한의 동기까지 짐작할 수는 없다”면서도 “이것이 우리의 방향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는 북한의 비핵화 약속이 포함돼 있는 9·19 공동성명을 이행한다는 약속이 전제돼야 미국이 북한과의 직접 대화에 나설 수 있다는 오바마 행정부의 기존 태도를 재확인한 것이다. 톰 도닐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지난 3월 아시아소사이어티 강연에서 “북-미가 기존에 만든 약속을 협상하고 이행하기 위해 북한과 마주앉을 준비가 돼 있다”며 “우리는 북한이 자신이 한 약속을 준수하겠다는 것을 보여주는 의미있는 조처를 취함으로써 진정성을 입증하기만을 요청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로버트 킹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가 지난달 말 한국 방문을 돌연 취소하고 독일 베를린에서 북핵 6자 회담 북한측 수석대표인 리용호 북한 외무성 부상과 만났다는 일부 보도와 관련해 사키 대변인은 “이 보도는 오보”라고 말했다.
랜초미라지(캘리포니아)/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돈을 만들고 쓰고 감추는 기술까지…‘돈의 달인’ 전두환
■ 북 “전화 개통합니다” 남 “알겠습니다”
■ ‘장타 군단’ 애틀랜타, 류현진 7승 사냥 제물될까
■ 황교안 법무장관의 교묘한 ‘원세훈 구하기’
■ [화보] 이건희 ‘신경영’ 20년, 삼성의 빛과 그림자
■ 돈을 만들고 쓰고 감추는 기술까지…‘돈의 달인’ 전두환
■ 북 “전화 개통합니다” 남 “알겠습니다”
■ ‘장타 군단’ 애틀랜타, 류현진 7승 사냥 제물될까
■ 황교안 법무장관의 교묘한 ‘원세훈 구하기’
■ [화보] 이건희 ‘신경영’ 20년, 삼성의 빛과 그림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