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미 당국자 인용 보도
‘북 변화 전엔 정상회담 배제’도 시사
오바마 압박에 방어용 답변일수도
‘북 변화 전엔 정상회담 배제’도 시사
오바마 압박에 방어용 답변일수도
7~8일 열린 미-중 정상회담에서 중국 쪽은 북한 핵문제와 관련해 이례적으로 구체적인 경제적 압박 구상을 밝혔다고 <뉴욕 타임스>가 10일(현지시각) 복수의 미국 정부 당국자의 말을 따서 보도했다.
<뉴욕 타임스>는 “미국과 중국 관리들은 마침내 북한 핵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해 의견을 같이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회담에서 중국 쪽은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를 굴복시키기 위해 북한의 경제 구원자이자 에너지 공급자인 중국의 레버리지(지렛대)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에 대해 이례적으로 구체적으로 말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이 신문은 한 미국 당국자가 “중국은 북한의 행동에 변화가 있을 때까지 김 제1비서와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시 주석이 조기 북-중 정상회담 가능성을 배제했다는 뜻이다.
이 신문은 “만약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런 약속에 따라 행동한다면 이것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큰 성취가 될 것”이라며 “한국전쟁이 끝난 이후 처음으로 미국 지도자가 중국을 상대로 북한의 야망에 의한 위협이 북한 붕괴에 따른 혼란의 위험보다 더 클 것임을 설득한 사례가 될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 보도는 전날 톰 도닐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언급보다 훨씬 더 나아간 것이다. 도닐런 보좌관은 두 정상이 북한 핵보유국 불인정과 비핵화 목표에 합의했다며 “이런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구체적 조처를 공동으로 모색한다는 데도 합의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미국 당국자들의 이런 발언은 공동성명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 쪽이 일방적으로 설명하는 것이어서, 정확한 진위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이와 관련해 시 주석은 중국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유지, 비핵화 실현이라는 목표와 함께 대화와 협상을 통한 해결이라는 원칙을 견지하고 있다고 밝혔다는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의 전언은, 미국 언론의 보도 내용과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양 국무위원이 “지금 긴급하게 필요한 것은 되도록 조속히 대화를 재개하는 것”이라고 강조한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물론 오바마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북한에 대한 강력한 제재 필요성을 제기하자, 시 주석이 ‘중국도 대북 설득·압박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해명 겸 방어적 차원에서 경제적 압박 카드를 거론했을 수도 있다. 미국은 이번 회담 전부터 북한이 핵을 포기하게 하려면 중국이 대북 제재에 나서는 수밖에 없다며 중국의 ‘협조’를 강하게 압박해왔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