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관계 재고”…EU 대책 추진
덴마크 등은 지원금·수출 중단
미국 ‘군사원조 중단’에 미적지근
지정학적 고려에 반 이슬람주의
중국도 유엔 고강도 대응에 반대
티베트 문제 등 개입빌미 안주려
덴마크 등은 지원금·수출 중단
미국 ‘군사원조 중단’에 미적지근
지정학적 고려에 반 이슬람주의
중국도 유엔 고강도 대응에 반대
티베트 문제 등 개입빌미 안주려
이집트 과도정부의 강경조처를 방관하던 국제사회가 유혈진압 이후 사태가 계속 격화되자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강경 대응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집트에 대한 영향력의 열쇠를 쥐고 있는 미국은 여전히 어정쩡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독일은 16일 이집트와의 관계를 재고하겠다고 앙겔라 메르켈 총리실이 성명을 통해 밝혔다. 메르켈 총리는 이날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하고 유럽연합 긴급회의 소집을 합의한 뒤 이렇게 밝혔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보도했다. 총리실은 “독일 정부는 최근 사태 전개를 고려해 이집트와의 관계를 재고하겠다고 메르켈 총리가 설명했다”고 전했다. 성명은 또 “메르켈 총리와 올랑드 대통령이 유럽연합도 이집트와의 관계를 완전히 재고해야만 한다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고 밝혔다. 두 정상은 “많은 수의 사망자와 부상자에 대해 깊은 우려와 실망”을 같이하면서 이집트의 위기 대응에 긴밀히 협조하기로 합의했다.
캐서린 애슈턴 유럽연합 대외대표도 이날 28개 회원국에 이집트의 폭력 사태 격화에 대응하는 “적절한 대책들”을 합의하라고 요구했다. 그는 성명에서 “사망자와 부상자의 수는 충격적이다”며 “회원국들에 이집트 상황에 대응하는 유럽연합의 적절한 대책들을 토의하고 공조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유럽연합은 오는 19일 회원국 대책 회의를 열 예정이다.
이미 덴마크 정부는 15일 세계은행과 국제노동기구(ILO)를 통해 이집트에 공급해온 530만달러(약 59억원)의 지원금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노르웨이도 이집트에 대한 군수물자의 수출 허가를 전면 동결하기로 했다. 프랑스와 영국 등은 자국 주재 이집트 대사를 초치해, 이집트 과도정부에 항의의 뜻을 전했다.
하지만 미국 쪽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과도정부를 비판하는 성명을 내놓고는 더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각) 휴가지에서 발표한 성명에서 “이집트 과도정부와 보안군의 조처를 강력하게 규탄한다”며 “비상사태를 철회하고 국가적인 화해 절차를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이번 유혈 사태에 대응해 내놓은 조처는 격년으로 열리는 이집트와의 합동 군사훈련을 취소한다는 것뿐이었다. 미국 언론들은 미국 행정부 관리들조차도 이 조처가 어떤 효과를 내리라고 기대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오바마는 “미국은 이집트의 미래를 결정할 수 없다”며 “이는 이집트 국민이 해야 할 일이며, 우리는 특정 정당이나 정치인의 편을 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과도정부를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연간 13억달러에 이르는 이집트 군부에 대한 미국의 원조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았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15일 긴급회의를 열었으나 의장 구두 발언을 통해 이집트의 모든 당사자들이 자제하라는 안보리의 견해를 밝히는 데 그쳤다. 의장의 구두 발언은 공식 성명이 아니며, 안보리가 취할 수 있는 대응 방식 중 수위가 가장 낮은 것이다. 이날 안보리 소집은 영국·프랑스·오스트레일리아·터키 등이 요구해 이뤄진 것이다. <에이피>(AP) 통신은 외교 소식통의 말을 따서 “여러 회원국이 ‘언론성명’ 채택을 요구했으나 중국이 반대했다”며 “중국은 티베트 등 소수민족 문제 탓에 안보리가 다른 나라의 국내 문제에 개입하는 것을 꺼린다”고 전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누드 모델 하영은 “벗으면 그 사람의 삶이 보여요”
■ ‘설국열차’처럼 바퀴벌레만 먹고 산다면?
■ “국정원-새누리당, 한통속임을 ‘셀프증명’했다”
■ [화보] 국정원 청문회 출석한 김용판의 야릇한 표정
■ [화보] 명품 근육의 도발
■ 누드 모델 하영은 “벗으면 그 사람의 삶이 보여요”
■ ‘설국열차’처럼 바퀴벌레만 먹고 산다면?
■ “국정원-새누리당, 한통속임을 ‘셀프증명’했다”
■ [화보] 국정원 청문회 출석한 김용판의 야릇한 표정
■ [화보] 명품 근육의 도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