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클린턴
이라크전 찬성했다가 정치적 역풍
국무장관 지낸터에 반대도 어려워
국무장관 지낸터에 반대도 어려워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은 시리아 바샤르 아사드 정권의 끔찍한 화학무기 사용에 대해 제한적이지만 강력한 응징을 하려고 의회를 소집하려는 대통령의 노력을 지지한다.”
미국의 유력한 대선주자인 클린턴 전 국무장관은 지난 3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시리아 군사공격안을 의회 표결에 부치겠다고 하자 보좌관을 통해 이런 내용의 성명을 내놓았다. 하지만 2016년 대선 경선이 다가오는 상황에서 클린턴 전 장관은 시리아 군사공격을 앞장서 반대 또는 찬성하기를 곤혹스러워 한다. 딜레마다.
일반적으로 클린턴 전 장관은 대외정책에서 오바마 대통령보다 강경한 매파로 평가된다. 2002년 이라크전 개시를 둘러싼 상원 표결 때 둘다 민주당 상원의원이었지만 선택은 달랐다.
오바마는 반대표를, 클린턴은 찬성표를 던졌다. 당시 여론은 전쟁 지지가 좀 더 우세해 클린턴 전 장관의 선택이 안전해 보였다. 하지만 조지 부시 행정부가 전쟁 명분으로 내세운 이라크의 대량파괴무기(WMD)가 없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이라크도 사실상 내전 상태로 빠져들자 ‘안전한 선택’은 정치적 역풍에 휩싸였다.
이와 관련해 <워싱턴포스트>는 “(이라크전) 상원 표결이 없었다면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오바마는 클린턴을 꺾을 충분한 동력을 얻지 못했을지 모른다”는 민주당 내부의 평가를 전했다.
대선주자로서 다음주 공개 연설 일정 등이 잡혀 있는 클린턴 전 장관으로선 시리아에 대한 발언 수위를 조절하는 문제로 고심이 깊다. 2002년과 달리 지금은 이라크전의 잔상 탓에 여론이 전쟁 반대로 기울어 있다. 하지만 존 케리 국무장관의 전임자로서 오바마 행정부의 일원이던 그가 오바마의 선택을 내놓고 반대하기도 어렵다. 남은 선택지는 ‘발언 수위 조절’뿐인 셈이다.
요즘 누구보다 강경하게 군사 행동을 주장하는 존 케리 국무장관의 변신은 좀더 아이러니하다. 그는 베트남전 참전 군인 출신으로 1971년 상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 군복을 입고 나와 전쟁 종식을 주장했다. 이는 그의 정치 이력에 큰 자산이 됐다. 3일 상원 외교위 청문회장에서 반전 구호가 터져 나오자 케리 장관은 “나도 예전에 저 활동가와 매우 비슷한 느낌을 가졌다”고 말했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