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동포들 위원회 꾸려 탄원활동
재미동포들이 미국 정부의 국가안보 기밀을 유출했다는 혐의로 2010년 기소(간첩법 위반)돼 3년째 법정투쟁을 벌이고 있는 스티븐 김(46·한국명 김진우) 박사(<한겨레> 10월11일치 12면) 구명운동에 나섰다.
이명석 전 퀸스한인회장은 22일 “다음달 21일 뉴욕 플러싱에서 첫 기금모금 행사를 열어 ‘스티븐 김 박사 미주구명위원회’(가칭)를 창립하고 대도시별로 구명위원회를 발족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백악관과 법무부, 미국 주요 언론사에 탄원서를 보내는 운동도 펼치기로 했다”고 했다. 이 전 회장은 이날 뉴욕에서 김 박사와 애비 로웰 변호사, 김 박사의 누나 유리 루스텐버거씨를 만나 구명 운동에 관해 논의했다.
로웰 변호사는 “미국 법무부가 김 박사 사건을 위해 담당 검사를 5명으로 늘렸다. 법무부가 김 박사를 희생양으로 삼으려고 유례없이 많은 검사를 보강했다”고 밝혔다. 그는 “법무부와 맞서려면 엄청난 분량의 서류를 검토해야 해 변호인단도 인원 보강이 필요하지만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고 했다.
미국 국립핵연구소 소속이었던 김 박사는 2009년 국무부의 검증·준수 정보총괄 선임보좌관으로 근무할 당시 국무부 공보담당자의 소개로 <폭스뉴스> 제임스 로젠 기자와 접촉했고 이후 로젠 기자가 북한의 추가 핵실험 가능성을 보도한 것과 관련해 정부의 기밀을 누출했다는 혐의로 기소됐다.
김 박사는 그동안 부모가 한국의 집을 판 돈과 변호사인 누나가 모은 돈 등 80여만달러를 변호사 비용으로 충당하면서 외로운 법정 싸움을 펼치고 있다.
이 전 회장은 “지금까지 10여차례의 예비 심리가 이뤄졌고 내년 4월28일 첫 공판이 시작될 예정이다. 재판이 끝날 때까지 최소 100만달러가 넘는 비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전 회장은 “김 박사 구명을 위해 영문 웹사이트(www.stephenkim.org)를 만들었으며 별도의 한글 웹사이트도 개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