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GDP 연율 4.1% 고성장
IMF 총재 “내년 성장 전망치 높일 것”
내년 2월 정부 부채한도 증액 촉각
IMF 총재 “내년 성장 전망치 높일 것”
내년 2월 정부 부채한도 증액 촉각
미국 경제가 내년에는 확실한 회복세를 보여주리라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내년 2월 초까지 유예한 부채한도 증액 문제가 원만히 타결되지 못하면 미 연방정부가 또한번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에 빠져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20일 발표된 미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 대비 4.1%(연율) 늘어, 분기 성장률이 2009년 이후 두번째로 높았다고 22일 보도했다. 이에 따라 많은 경제 분석가들이 올해 상반기 1.8%(전기 대비 연율)이던 경제성장률이 하반기에는 3%로 높아지리라 예상한다고 신문이 전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도 22일 미 <엔비시>(NBC) 방송에 나와 “미국의 경제 성장이 상승 탄력을 받고 있고 실업률도 떨어지고 있다. 이런 점들을 고려할 때 내년 전망이 상당히 좋아 미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통화기금은 지난 10월 미국의 성장률이 올해 1.6%를 기록한 뒤, 내년에 2.6%로 올라가리라고 전망했다.
당장 미국이 넘어야 할 산은 연방정부 부채한도 증액 문제다. 미국 정부는 지난 10월 의회가 부채한도를 증액해주지 않아 더는 빚을 끌어다쓸 수 없게 되자, 한때 정부기관을 폐쇄한 바 있다. 당시 의회는 연방정부가 내년 2월7일까지만 빚을 끌어다 쓸 수 있게 해놓고 추가 협의를 하기로 했다.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 총재는 “내년 2월 미국 의회가 똑같이 책임있는 자세를 보이기를 기대한다. 국가 채무불이행 문제를 놓고 논쟁하며 경기회복의 발목을 잡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잭 루 미 재무부 장관은 최근 의회에 보낸 서한에서 “내년 2월7일 이후 재무부가 몇주 동안은 시간을 벌 수 있지만 그 이후에는 어떤 ‘합리적인 시나리오’도 찾을 수 없다”고 경고했다고 미국 언론들이 전했다. 야당인 공화당은 행정부에 부채한도 증액에 따른 대가를 요구하고 있지만,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국가부채를 볼모로 한 협상에는 절대 임할 수 없다’는 강경한 태도를 바꾸지 않고 있다.
정남구 기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