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국정연설서 ‘민생’ 강조키로
11월 중간선거 앞 지지율 반등 노려
11월 중간선거 앞 지지율 반등 노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하와이에서 16일간 휴가를 보내며 새해 정국 구상을 마쳤다. 11월 중간선거를 치러야 하는 올해, 오바마 대통령은 ‘소득불평등 해소’를 화두로 지지율 끌어올리기에 안간힘을 쓸 전망이다.
5일 <워싱턴포스트>를 보면, 오바마 대통령은 28일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국정연설을 한다. 새해 첫 연설에서는 최저임금 인상과 장기 실업수당 연장을 포함한 소득불평등 해소 방안이 집중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먼저 시간당 최저임금을 10달러 이상으로 올리는 방안을 제안할 전망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해 국정연설에서 시간당 9달러를 제안했다. 그러나 이후 시간당 10.10달러를 제안한 리처드 더빈 민주당 상원의원의 법안을 지지해왔다. 이밖에 장기 실업수당 연장의 필요성도 비중있게 다루리라 예상된다. 공화·민주 양당은 2개년 예산안을 마련하며 장기 실업수당 예산을 제외했다. 이 때문에 130만명이 실업수당을 못 받게 됐고, 미국 사회의 큰 논쟁거리로 떠올랐다. 국정연설과는 별개로, 오바마 대통령은 조만간 건강보험개혁안(오바마케어)으로 서민들이 누릴 혜택을 홍보하는 민생 투어에 나설 예정이다. 의회에 포괄적 이민법 개혁안 처리를 촉구하며, 소수계 유권자들을 향한 구애도 병행할 계획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새해 화두로 ‘민생 카드’를 꺼내든 것은 11월 의회 중간선거와 관련이 깊다. 갤럽 조사 결과를 보면, 오바마 대통령의 지지율은 2기 임기 초인 지난해 1월 52%였으나 12월엔 41%로 1년 새 11%포인트가 빠졌다. 로널드 레이건과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의 2기 첫해 지지율은 62%와 58%였다. 오바마의 지지율은 인기없는 대통령이던 전임자 조지 부시가 2기 첫해에 기록한 36%에 근접한 수준이다. 민주당에서도 오바마의 낮은 지지율이 중간선거 최대 악재 중 하나로 거론될 정도다. 하지만 윌리엄 갤스턴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실업수당과 최저임금은 힘겨운 2013년을 보낸 오바마에게 승산 있는 이슈가 될 수 있다. 대중의 지지를 받을 게 명백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