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대만·쿠바계, 의회에 막강 영향력
선거 자금 지원·80%대 투표율 활용
한국계 시민권자 투표율 30% 수준
선거 자금 지원·80%대 투표율 활용
한국계 시민권자 투표율 30% 수준
미국 워싱턴의 정치구조는 한국과 사뭇 다르다. 행정부의 정책 결정 과정에서 의회의 영향력이 막강하다. 우드로 윌슨 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은 의회정부”라고 표현했을 정도다. ‘견제와 균형’을 이념으로 한 역사적 전통과 함께 예산편성권을 의회가 갖고 있어서 가능한 일이다.
소수계 인종이 미국 정계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려고 의회를 활용하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행정부 관료들은 접근 자체가 어렵지만 의원들은 지역구 유권자로서 얼마든지 접근이 가능하다.
이런 워싱턴의 정치 생리를 가장 잘 터득하고 활용하는 소수계가 이스라엘과 대만, 쿠바계 등이다. 이스라엘은 미국 내 유대인들이 똘똘 뭉쳐 자신들의 권익과 고국의 이익을 미국의 정책에 반영하고자 나선다. 이들은 1947년 ‘미국-이스라엘 공공정책위원회’(AIPAC·에이팩)라는 비영리 정치참여 단체를 만들었다. 미국 로비단체로 최대 규모인 이 단체는 매년 워싱턴에서 총회를 여는데, 버락 오바마 대통령을 비롯해 유력 정치인이 대부분 참가한다. 연방의회가 이곳으로 옮겨왔다는 착각이 들 정도다. 미국 정부의 대이란 강경책이 나오는 배경에는 유대인들이 이렇게 의원들을 통해 압력을 넣기 때문이다.
소수계가 의회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법은 선거자금 제공과 표 몰아주기가 대표적이다. 에이팩은 매년 의원들의 성적을 매겨 발표하는데, 이는 유대인들이 선거자금을 제공하는 잣대가 된다. 이스라엘과 대만, 쿠바계 권익옹호 단체들은 지속적으로 투표 참여 운동에 나서고 있는데, 이들 소수계의 투표 참여율은 80%를 넘어서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을 비롯해 필리핀과 인도, 베트남, 일본, 중국 등의 이민자들도 자국계 시민의 정치세력화를 통해 ‘의회 잡기’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재미동포의 경우, 뉴욕·뉴저지에 있는 시민참여센터(소장 김동찬)를 중심으로 이런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200만명 이상인 재미동포 가운데 투표권이 있는 시민권자가 절반가량으로 추정된다. 이들 시민권자의 투표 참여율은 30% 수준이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