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아시아 순방국 최종 조율중
아베, 대미관계 회복 위해 방일 원해
한국도 일본과 갈등 고려 강력 희망
아베, 대미관계 회복 위해 방일 원해
한국도 일본과 갈등 고려 강력 희망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4월 아시아 순방을 앞두고 한국과 일본의 치열한 외교전이 펼쳐지고 있다. 최근 야스쿠니신사 참배, 위안부, 독도 문제 등을 둘러싸고 날카롭게 맞서온 한·일 양국이 모두 오바마 대통령의 자국 방문을 강력히 희망하고 있어서다. 이런 상황에서 오바마 대통령이 한·일 가운데 한 나라만 방문하면 한쪽 당사자의 편을 들어준다는 인상을 줄 수 있어 미국 정부도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워싱턴 외교소식통은 3일 “오바마 대통령의 순방국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며 최종 결정하는 단계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난해 10월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부분 업무정지) 탓에 오바마 대통령이 방문을 취소한 필리핀과 말레이시아 방문은 거의 확정된 상태여서, 나머지 한 나라를 두고 한국과 일본 등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대통령의 국외 순방은 통상 세 나라를 하나로 묶어 이뤄진다.
한국 정부는 오바마 대통령이 4월 또는 10월 가운데 한 차례는 한국을 방문하리라 예상하지만, 최근의 한-일 관계 등을 고려해 4월 방문을 강력히 희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계 회복의 상징인 한-일 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막판 조율을 거듭하는 와중에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느닷없이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해 판을 깨뜨린 측면이 크다고 보기 때문이다. 한국 정부는 이런 상황에서 오바마 대통령이 일본만 방문한다면, 일본 정부에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고 우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정부는 정반대로 오바마 대통령의 방일을 성사시켜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이후 삐걱대는 미-일 관계를 복원하겠다는 속셈이다. 중국은 10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베이징에서 열리는 만큼 이번에는 순방 검토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3일 미-일 정부 관계자의 말을 따서 오바마 대통령이 4월 아시아 순방에서 일본·필리핀·말레이시아를 방문하기로 정했으며, 한국 방문은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앞서 리처드 아미티지 전 미국 국무부 부장관 등은 지난달 31일 <워싱턴 포스트> 기고문에서 “오바마 대통령이 일본과 필리핀, 말레이시아를 방문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일본과 필리핀을 방문하며 또다른 핵심 동맹국인 한국을 건너뛰는 것은 박근혜 대통령에게 당혹스러운 일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빅터 차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 석좌 연구원은 <한겨레>에 “많은 현안이 있는 시기에 일본을 방문하며 한국을 제외하는 것은 이상하다”고 짚었다.
워싱턴 도쿄/박현 길윤형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