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포스트’ 칼럼 지적
“미-중보다도 이해부족 커
미국 안보위기 초래 우려”
“미-중보다도 이해부족 커
미국 안보위기 초래 우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우경화 행보 때문에 일본이 미국의 국가안보 위기를 초래하리라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고 미국 <워싱턴포스트>가 17일 지적했다.
이 신문의 잭슨 디엘 논설 담당 부편집장은 ‘일본의 도발적 움직임’이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불과 몇년 전만 해도 ‘일본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직면할 가장 심각한 국가안보 위기를 초래할 것인가’라는 우려는 터무니없는 것처럼 들렸다”며 “그러나 아베 총리가 일본을 역동적이고도 잠재적으로 위험한 시대로 이끌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일본은 긴 정체 시기에 이어 급속하고 때로는 혼란스런 변화가 폭발하는 역사를 갖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디엘 부편집장은 아베 총리가 지난 수개월간 강경한 국수주의로 방향을 틀어 중국과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미국 정부에서도 ‘경고음’을 울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그는 3가지 측면에서 아베 총리의 국수주의 때문에 아시아 안보 위기 가능성이 더 커졌다고 주장했다.
우선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는 한-일, 중-일 간의 관계 개선 가능성을 없앴다. 특히 중-일 간에는 무인도(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를 둘러싼 영유권 분쟁의 와중에 외교·군사적 접촉선이 거의 없어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둘째로, 최근 아베 정부와 오바마 행정부 사이의 관계도 심각하게 훼손됐다는 점이다.
그는 한 정통한 소식통의 말을 따서 “미-일 양국 간 상호 이해 부족이 미-중 간에 견줘 더 크다”며 “미국 당국자들은 영유권 분쟁으로 위기 상황이 발생했을 때 아베 총리가 어떻게 행동할지, 미국의 말에 귀를 기울일지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셋째로, 일본이 이처럼 한국·중국과 관계가 악화되고 미국과 의사소통도 단절된 상황에서 중국이 영유권 분쟁 지역에서 도발해 미·일 관계를 시험해볼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오바마 대통령의 4월 일본 방문 때 위기 예방이 공식 의제가 되지는 않겠지만 그의 임무 가운데 큰 부분이 될 것”이라고 짚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