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당국자 ‘진일보’ 발언 주목
정부 고위 당국자는 9일(현지시각) 한·미·일이 북한에 요구해온 ‘비핵화 사전조처’의 이행 여부와 상관없이 북한과 대화 재개를 추진할 뜻이 있음을 밝혔다.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회담과 관련해 미국 워싱턴을 방문 중인 이 당국자는 이날 <한겨레>와 만나 “우리 나름대로만 추상적으로 어떤 것들이 무조건 돼야 북한과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할 필요가 없다”며 “제재는 확실하게 하면서 6자회담이 됐든 뭐가 됐든 간에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이끌어내 태도를 알아보고, 가능하면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북한에) 들어갈 수 있는 방안이 있는지 등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과 얘기를 안 하면 그 (실현) 가능성은 제로”라며 “뭔가 얘기를 해서 북한이 그런 것을 할 용의가 있는지, 어떤 것을 요구하는지 등 그야말로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놔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전날 ‘비핵화 사전조처를 유연하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는 발언에서 한발 더 나아간 것이다. 한·미·일이 비핵화의 진정성을 보여줄 수 있는 사전조처를 북한이 이행해야만 대화가 가능하다는 지금까지의 태도에서 일단 대화를 시작해서 해법을 찾아보자는 쪽으로 정책 전환을 추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이 당국자는 “북한에 돈을 주고 대화에 나오라고 하는 방식은 원칙적으로 할 수 없다”고 선을 그으면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검토 작업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런 정책 추진 배경과 관련해 “현재 상황을 보면 제재를 계속하고 있으나 얼마나 작동이 되는지 자신하지 못하고, 또 매일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말해도 우리가 아니라고 부정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공식 6자회담을 열기 전에 예비 성격의 회담을 열어 북한의 의중을 파악할 수도 있느냐’는 질문에 다양한 방안 중 하나일 수 있다고 답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