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기 정찰 통해 공습 준비
시아·수니·쿠르드 연정 촉구
시아·수니·쿠르드 연정 촉구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이라크 사태에 대한 미국의 대응과 관련해 누리 말리키 이라크 총리가 종파 갈등을 완화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을 조건으로 제한적 공습을 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뉴욕 타임스>는 16일 오바마 행정부 고위 관리의 말을 인용해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의 어떤 군사 행동도 (이라크 내) 종파 분쟁을 치유하려는 정치적 계획을 조건부로 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오바마 대통령은 무인 정찰기를 활용해 공습 준비를 위한 정보를 수집할 것을 명령하는 한편으로 이번주에 이라크 지도자들에게 새로운 국민연합정부를 구성할 것을 촉구할 것”이라고 전했다. 누리 말리키 이라크 정부에 이슬람 시아파와 수니파, 쿠르드족 등 3대 세력의 연합정부를 구성할 것을 요구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미국이 공습 준비와 함께 이라크 내 종파·민족간 화해 추구라는 투트랙 전략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오바마 대통령이 이런 태도를 취하는 것은 이라크 정부를 개혁하지 않은 채 수니파 극단주의 세력에 대한 공습만으로는 현 사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인식에서 나온 것이라고 <뉴욕 타임스>는 전했다.
그러나 시아파·수니파·쿠르드족을 모두 만족시키는 연합정부를 제대로 구성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사담 후세인 전 이라크 대통령이 2003년 축출된 이후 종파 갈등은 더 악화됐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라크전 종전을 앞둔 2010년에도 말리키 총리에게 수니파 지도자들과 권력을 공유하도록 촉구했으나 실패한 바 있다.
오바마 대통령의 이런 선택은 이라크전에 다시 휘말려드는 것을 경계하는 민주당의 전반적 기류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의 차기 대선주자로 꼽히는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도 13일 영국 <비비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말리키 총리가 포용적인 태도를 보여주기 전에는 그의 공습 요청을 거절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공화당 쪽은 오바마 대통령이 또 우유부단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맹공을 펴고 있다. 마이크 로저스 하원 정보위원장은 15일 <폭스뉴스>에 “미국은 ‘이라크·레반트 이슬람국가’의 진군을 막기 위해 공습을 해야 하며 아랍연맹을 결집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은 <시엔엔>에 “우리가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면 이라크와 시리아가 또다른 9·11 테러를 준비할 수 있는 중요한 기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