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겨레하나되기운동본부 회원들이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중학동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추진, 즉각 중단하라’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 식민지 지배로 희생된 아시아인들과 강제징용 피해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추모하는 묵념을 하고 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편협한 민족주의 집단에 영합
아베 고노담화 검증 일본에 해 끼쳐”
아베 고노담화 검증 일본에 해 끼쳐”
미국 <뉴욕타임스>는 23일(현지시각) 사설에서 일본이 고노담화 검증을 통해 과거사를 수정하려 시도하고 있다며 강도높게 비판했다. 이 신문은 ‘일본의 역사적 눈가리기’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경제규모 세계 3위의 민주주의 국가로서 일본은 과거를 고쳐 쓰려는 것처럼 보여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신문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고노담화 검증을 지시해 이 전쟁범죄(위안부) 피해자들을 부당하게 대하고, 편협한 민족주의적 정치집단에 영합해 일본에 해를 끼쳤다”고 평가했다. 신문은 이어 “한국인들에게 이번 검증 보고서는 일본이 이 사과(고노담화)를 진지하게 여긴 적이 없었다는 걸 보여준다”며 “국가간 관계에서, 특히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라면 협의는 필수적이고 대화가 부정적으로 여겨지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일본 민족주의자들은 틀림없이 (한국에 대한) 사과를 철회하라고 정부를 압박하는데 검증 보고서를 활용할 것”이라며 “아베 총리는 ‘(과거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잘못됐다는 점을 일본과 세계에 분명히 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신문은 무력 분쟁 중 일어나는 성폭력에 국제사회가 점점 더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금은 일본이 ‘전시 성노예’ 사안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기에 특히 어색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신문은 아베 총리의 동생 기시 노부오 일본 외무성 부대신이 이달 런던에서 열린 국제회의에서 ‘성폭력은 범죄이며 가해자를 처벌하지 않는 문화를 없애고 우리의 사고방식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 점을 상기시켰다.
일본 내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시민단체 ‘일한회담 문서 전면공개를 요구하는 모임’의 공동대표인 요시자와 후미토시 니가타고쿠사이조호대 교수는 24일 <도쿄신문>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가 고노 담화 검증 보고서의 토대가 된 외교문서들을 전면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요시자와 교수는 “일본 쪽 입맛에 맞는 외교문서만 모은 것 아닌가하는 의문을 품게 한다”며 “최소한 보고서의 기초가 된 외교문서는 일반에 공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워싱턴·도쿄/박현 길윤형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