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북한 핵문제 논의를 위한 실무 회의를 여러 달째 중단한 상태라고 <뉴욕 타임스>가 9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미-중 관계가 지난해 6월 정상회담 이후 계속 악화돼 당시 두 정상이 합의했던 북한에 대한 압박 문제조차도 9일부터 열리고 있는 미-중 전략경제대화 의제에서 거의 사라졌다고 전했다. 신문은 “중국 쪽이 북한 핵문제를 동·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등 다른 이슈들과 연계시키기로 결정했다”고도 전했다. 신문은 추이톈카이 주미 중국대사가 올해 4월10일 워싱턴에서 한 연설에서 미국의 중국에 대한 북핵 압박 요구는 “불가능한 임무”라고 말한 점도 상기시켰다.
워싱턴 외교가에선 미-중 간의 북핵 논의 실종이 중국 쪽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워싱턴을 방문한 4월 말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당시 미-중 6자회담 수석대표 회담에서 우 대표는 미국 쪽에 북한과의 비핵화 대화 재개를 위한 ‘문턱’을 낮출 것을 요구했으나 미국은 이를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글린 데이비스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북한 핵문제 논의를 위해 베이징 방문을 추진했으나 아직까지도 성사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추가적 대북 압박 요구에 중국 쪽이 부담을 느끼기 때문으로 보인다.
최근 북-일, 북-러 대화가 진전을 보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마저 미국의 요구를 거절하고 있어, 국제적인 제재 공조를 통해 북한의 변화를 이끌어내겠다는 미국의 ‘전략적 인내’ 정책은 한계에 봉착했다는 주장이 더 힘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