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 헤이글 미국 국방장관(왼쪽)과 마틴 뎀프시 합참의장(오른쪽)이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한 16일 평화단체 ‘코드 핑크’ 회원들이 ‘전쟁이 극단주의를 부른다’는 반전 구호가 적힌 종이팻말을 들고 시위를 하고 있다. 워싱턴/AP 연합뉴스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서 밝혀
“연합전선 실패땐 대통령 건의할것”
오바마 방침과 배치돼 논란 예고
‘시리아반군 지원’도 의회서 뭇매
“연합전선 실패땐 대통령 건의할것”
오바마 방침과 배치돼 논란 예고
‘시리아반군 지원’도 의회서 뭇매
미국 국방부가 16일 이슬람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 격퇴 작전에 지상군을 투입할 가능성을 처음으로 시사했다. 이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지상군 투입 불가’ 방침에 배치되는 것으로 논란이 예상된다.
마틴 뎀프시 미 합참의장은 이날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해 “국제연합군이 적절한 방법이라는 것이 입증될 것으로 믿는다”면서도 “그러나 이것이 실패한다면, 그리고 미국에 대한 위협이 있다면, 나는 대통령에게 지상군 투입을 권고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불과 일주일 전 대국민 연설에서 지상군 투입은 없을 것이라고 공언했음데도 뎀프시 의장이 이런 뜻을 공개적으로 밝힌 것은 미 지상군 투입 없이는 이슬람국가 격퇴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가 쉽지 않을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오바마 대통령의 연설 이후 미국 내에선 시리아 반군의 취약성과 이슬람국가의 미국 본토 위협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 야전 사령관은 특수부대 투입 필요성을 이미 건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뎀프시 의장은 중부사령부를 지휘하는 로이드 오스틴 장군이 최근 이라크 북부 모술댐 탈환 작전 때 공습을 지원하기 위해 특수부대를 지상에 파견하도록 허용해 달라고 요청으나 오바마 대통령이 거절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뎀프시 의장은 “대통령이 사안별로 의견을 달라고 나에게 말했다”고 밝혔다. 이는 오바마 대통령도 경우에 따라서는 특수부대 투입을 허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특히, 뎀프시 의장은 이라크 제2도시 모술 같은 인구 밀집지역에 공격을 단행하거나 작전이 복잡할 경우, 미군 특수부대원들이 이라크 정부군과 공동 작전을 펼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경우 오바마 대통령에게 특수부대 투입을 권고하겠다는 것이다.
뎀프시 의장의 발언이 파문을 일으키자 백악관은 급히 진화에 나섰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다양한 긴급상황을 계획하고 검토하는 것은 대통령 군사 보좌진의 책무다. 뎀프시 의장은 가정적 상황을 전제한 질문에 답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의회 청문회에는 척 헤이글 국방장관이 뎀프시 의장과 함께 출석해 이슬람국가 격퇴 전략을 자세히 설명했으나, 이번 작전에 대한 의원들의 우려를 불식시키지는 못했다. 특히 의원들은 5000명의 시리아 반군을 훈련시켜 지상 작전에 투입한다는 계획에 의문을 표시했다. 존 매케인 상원의원(공화당)은 이슬람국가 대원들은 3만명을 넘는다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이런 계획은 불충분한 대응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의회는 이번주 시리아 반군을 훈련시키고 무장시키는 지원 프로그램을 표결에 부칠 예정이다. 공화당이 다수파인 하원은 이 프로그램의 만료시한을 오는 12월11일로 못박을 방침이다. 11월 중간선거를 치른 뒤에 오바마 대통령의 이슬람국가 격퇴 작전에 대한 권한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해 승인 여부를 표결에 부치겠다는 속셈이다.
<워싱턴 포스트>는 “지상군 투입 여부는 시리아 반군 지원 표결에서는 쟁점이 되지 않겠지만, 중간선거 이후 전쟁권한에 관한 의회 논쟁에서는 핵심 쟁점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