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이 중 외교부장 오바마·케리 회동
케리 “홍콩시민 보편적 참정권 지지”
‘홍콩 민주화’ 미-중 갈등 커져
케리 “홍콩시민 보편적 참정권 지지”
‘홍콩 민주화’ 미-중 갈등 커져
미국과 중국이 홍콩 시위를 둘러싸고 정면 충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미국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존 케리 국무장관이 직접 나서 민주주의와 인권 가치를 앞세워 중국에 대한 압박에 나섰고, 중국은 내정 간섭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존 케리 국무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1일(현지시각) 워싱턴 국무부 청사에서 열린 외교장관 회담에서 홍콩 시위를 놓고 날선 공방을 벌였다. 왕이 부장이 다음달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방중을 앞두고 정상회담 준비차 방문한 자리였지만, ‘홍콩 시위’가 중심이 돼 버렸다.
케리 장관은 회동에 앞서 “오늘 논의할 의제에는 의심할 여지 없이 홍콩 시위 문제가 들어있다”며 “우리는 기본법에 따른 홍콩시민의 보편적인 참정권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그는 “자치와 법치에 의해 지배되는 개방된 사회가 홍콩의 안정과 번영에 필수적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왕이 부장은 “중국 정부는 이번 문제에 매우 강하고 분명하게 우리의 태도를 이야기해왔다”고 전제하고 “홍콩 문제는 중국의 내부 문제다. 모든 국가는 중국의 주권을 존중해야 한다”며 ‘내정 간섭 말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어 “이것은 국제관계를 운영하는 데서 가장 기본적 원칙”이라며 “어느 나라나 사회에서도 공공질서를 위반하는 불법행위를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 그것은 미국도 마찬가지이고 홍콩도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중국에 대한 압박에는 오바마 대통령까지 가세했다. 왕 부장은 이날 오후 수전 라이스 안보보좌관을 만나기 위해 백악관을 방문했는데, 이 자리에 오바마 대통령이 합류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왕 부장에게 “미국은 홍콩의 사태 전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홍콩 당국과 시위대 간의 견해 차이가 평화적으로 해결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에 대한 압박의 강도를 높일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백악관은 또 홍콩 시위와 관련한 온라인 청원에 대한 답변에서 “유권자들의 의지를 대표하는 후보자들이 선택된다면 행정장관의 합법성이 크게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리처드 부시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에이피>통신에 “이는 백악관의 기존 성명에서 더 나아간 것”이라며 “중국 당국이 제시한 선거 방식이 합법성을 부여하지 않는다는 걸 암시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중국 당국과 관영언론들은 홍콩 시위 확산을 서방이 부추기고 있다는 비난전을 펴고 있어, 사태의 향방에 따라 ‘홍콩 민주화’가 미-중간의 주요 갈등 이슈로 확대될 조짐도 보인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