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악의적 의도 가진 행위”
수사당국은 북한 연루 잠정결론
수사당국은 북한 연루 잠정결론
미국 백악관이 영화 <인터뷰> 상영을 막기 위한 소니영화사 해킹 및 극장 테러 위협 사건을 엄중한 국가안보 사안으로 받아들이고 ‘비례적 대응’을 검토 중이라고 밝혀, 백악관이 어떤 조처를 할지 관심이 쏠린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18일(현지시각)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사건은 정교한 행위자가 악의적 의도를 가지고 실행한 파괴적 행위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것은 심각한 국가안보 문제로 여겨져, 백악관 안보팀이 ‘비례적 대응’을 검토하고 있다”며 “오바마 대통령이 최근 며칠간 날마다 관련 보고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북한의 해킹 연루 의혹에 대해서는 “법무부와 연방수사국(FBI)의 조사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이를 확인할 위치에 있지 않다”고 언급을 회피했다. 수사 결과를 본 뒤 대응 방안을 내놓겠다는 것이다.
현재 미 수사당국은 북한이 연루된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린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이번 해킹이 과거 북한이 한국에 행한 수법과 비슷하다는 정황 증거는 있지만, 확실한 물증을 확보했는지는 불명확하다.
백악관은 현재 다양한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묘책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북한에 대해 이미 많은 경제제재를 취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에 타격을 줄 만한 추가적 제재 수단이 마땅치 않다. 또 북한에 대해 이번 테러와 비슷한 강도의 사이버 공격을 하려 해도 마땅한 목표 대상을 찾기가 어렵다. 오히려 북한의 추가 보복 공격을 초래해 미국만 더 손실을 입고 사태가 더 악화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백악관은 이번 사안이 과거 미국을 상대로 한 사이버 공격과 양상이 다르고, 영화 상영 취소로까지 이어져 여론이 매우 좋지 않은 점 때문에 어떤 형태로든 대응책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 미 고위관리는 이번 사건이 오바마 대통령에게까지 매일 보고되는 이유에 대해 <뉴욕 타임스>에 “우선 미국 내 기업에 파괴적인 악성소프트웨어를 사용했고, 기업 경영에 영향을 끼치고 영화 상영을 하지 못하도록 훔친 데이터들을 활용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