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언론 “이란 핵활동 제한 합의”
10년간 핵물질 획득 제한키로
6월말 최종 합의안 서명 계획
10년간 핵물질 획득 제한키로
6월말 최종 합의안 서명 계획
스위스 제네바에서 22~23일 진행된 미국과 이란간 핵협상에서 상당한 진전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 언론들이 23일 보도했다.
이 협상에서 두 나라는 이란이 핵무기 제조에 필요한 핵물질의 획득을 제한하는 기간을 최소 10년으로 정하고, 이후 5년간 점진적으로 제한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잠정 합의한 것으로 보인다고 언론들은 전했다. 이렇게 되면, 미국 협상팀은 최대 15년의 시간을 벌었다고 주장할 수 있는 반면에, 이란 쪽은 10년이 지나면 핵개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다는 주장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두 나라 내부 강경파들의 반발을 누그러뜨려 보겠다는 의도다.
이번 협상이 끝난 뒤 미국 쪽 고위 관리는 기자들과 만나 “이란은 최소한 두자리 숫자의 해 동안 엄격한 제한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아직 갈 길이 멀지만 일부 진전을 이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월스트리트 저널>은 “미국이 그동안 최소 20년간 이란의 핵활동을 제한하겠다고 밝혀온 것을 고려하면 미국 쪽이 상당한 양보를 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협상에서는 또 이란이 보유할 수 있는 원심분리기 수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다. 미국은 원심분리기 수를 제한해 이 합의가 만료된 뒤에도 이란이 핵무기 제조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브레이크 아웃)을 1년 이상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미국과 이스라엘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최대한 갖겠다는 의도다. 이란이 갖고 있는 기존 핵물질의 상당량은 러시아로 이전시킬 예정이다.
이번 협상에는 미국 쪽에서 존 케리 국무장관과 함께 처음으로 어니스트 모니즈 에너지부 장관이 참석해 이번 회의의 중요성을 느끼게 했다. 이란 쪽에서는 무함마드 자바드 자리프 외교장관과 알리 아크바드 살레히 원자력장관이 참석했다. 이들은 다음주 초에 협상을 재개하기로 했다. 두 나라는 다음달 말까지 협상의 골격에 합의한 뒤, 6월 말까지 최종 합의안에 서명하는 절차로 협상을 진행 중이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