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클린턴 전 미국 국무장관.
“장관 시절에 재단이 외국 돈 받고
국무부는 해당 국가에 혜택 제공”
보수인사, 내달 ‘클린턴 돈’ 책 출간
국무부는 해당 국가에 혜택 제공”
보수인사, 내달 ‘클린턴 돈’ 책 출간
2016년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한 힐러리 클린턴 전 미국 국무장관이 장관으로 재임했던 시절 클린턴재단이 외국 돈을 받고 국무부는 해당 국가에 혜택을 제공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뉴욕 타임스>는 후버연구소 연구원인 피터 슈바이처가 다음달 출간할 <클린턴 돈: 외국 정부와 기업들이 빌과 힐러리를 부자로 만든 방법과 이유에 관한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라는 제목의 책에서 이렇게 주장했다고 20일 보도했다. 슈바이처는 과거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의 연설 자문을 하는 등 보수 성향 인사다.
이 책은 힐러리 클린턴이 국무장관으로 재직하던 2009~2013년에 그의 남편인 빌 클린턴 전 대통령에게 고액의 연설료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클린턴재단에 돈을 기부한 외국인들이 그 대가로 국무부로부터 혜택을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남미 천연자원 투자자인 한 기부자는 콜롬비아와의 자유무역협정 체결로 혜택을 받았으며, 국무부가 캐나다와 미국을 잇는 송유관인 키스톤XL 파이프라인 프로젝트를 검토할 때 이 프로젝트 투자자와 캐나다 은행이 클린턴 전 대통령에게 100만달러 이상을 기부했다는 것이다.
이 책은 클린턴 부부의 소득이 2001~2012년 최소한 1억3650만달러에 이르렀다면서, 당시 외국 정부 및 개인과 수백건의 거래를 하거나 도와줬으며, 일부 거래에서는 수백만달러가 그들의 개인 호주머니로 들어갔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 책은 클린턴 전 대통령의 연설 횟수가 아내가 국무장관이던 시절 증가했다면서, “한 차례당 50만달러(약 5억4000만원) 이상을 벌어들인 13차례의 연설 가운데 11차례가 아내의 장관 재임 기간과 겹친다”고 주장했다. 클린턴 전 대통령은 2011년의 경우 54차례의 연설로 1330만달러(약 144억원)를 벌었으며, 그 대부분이 외국에서 벌어들인 것이라고 이 책은 주장했다.
<뉴욕 타임스>는 “이미 미국 상원 외교위 소속 의원들이 이 책에 관한 브리핑을 받았으며, 주요 언론사들이 저자와 독점계약을 맺고 구체적인 사실 확인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