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기테러 이후 테러방지 일환
무작위 내용 검토서 확대 방침
무작위 내용 검토서 확대 방침
미국이 테러 대책의 일환으로 비자 발급 때 신청자의 소셜미디어 활동을 살펴보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 국토안보부는 미국 입국 전에 비자 신청의 일환으로 신청자들이 소셜미디어에 게재한 것들을 검토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14일 보도했다. 이 조처는 최근 캘리포니아주 샌버너디노 총기 테러 사건 뒤 테러 대책으로 소셜미디어에 새롭게 초점을 맞추려는 방안의 일환이다.
현재 국토안보부는 비자 심사 때 소셜미디어에 게재된 내용들을 무작위로 살피고 있다. 이는 올해 초부터 시작된 비자 발급과 관련한 3개의 시범 프로그램 중 하나다. 국토안보부가 현재 시행 중인 시범 프로그램은 모든 소셜미디어 활동을 완전히 검색하는 것은 아니다. 소셜미디어 활동 검색을 위한 새로운 과정이 언제 마련될지는 불확실하며, 그 세부 사항들도 전해지지 않고 있다. 이 방안을 추진 중인 관리들은 잠재적인 테러 위험을 파악하기 위해 비자 발급과 관련해 현재 시행 중인 정확한 절차들을 밝히기를 거부하고 있다. 국토안보부는 지난 9일 상원 청문회에서 테러를 막기 위한 비자 발급 대책에 대해 보고한 바 있다.
샌버너디노 총기 테러 사건의 수사관들은 현재 용의자인 사이드 파루크와 그 부인 타슈핀 말릭의 범행 동기를 파악하기 위해 페이스북 활동, 컴퓨터 기록들에서 단서를 찾기 위해 노력 중이다. 말릭은 파키스탄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살다가 2014년 미국인의 약혼자에게 주는 K-1 비자를 받아 미국에 입국했다. 말릭은 사건 당일에 가명으로 등록한 페이스북 계정에 이슬람국가(IS) 지도자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글을 올렸다. 수사당국은 말릭이 과거에 소셜미디어에서 유사한 활동을 했는지 확인 중이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