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타임스>가 지난 3월 콜롬비아무장혁명군의 초청을 받아서 방문한 그들의 한 기지에서 혁명군 남녀 대원들이 같이 낮잠을 자고 있다. 대원들은 자신들은 오직 혁명과 결혼했을 뿐이라며, 자유로운 사랑을 영위한다고 말했다. <뉴욕 타임스> 갈무리
그들은 처음에 한 손에는 카를 마르크스를, 다른 손에는 칼라시니코프 소총을 들고 출발했다. 52년이 지난 지금 그들은 여전히 그렇게 생각하나, 그들의 손은 인질과 마약거래를 더 움켜쥔 현실이다.
콜롬비아 정부와 52년간의 내전을 벌이다가 지난 24일 평화협정에 합의한 콜롬비아무장혁명군(FARC) 대원들의 그동안의 고립된 삶과 향후 행보가 주목되고 있다. 무장혁명군은 오는 9월말 정부와 평화협정에 공식 서명한 뒤 합법적인 정치 참여 등 사회복귀를 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들의 정치참여를 위해 상·하원에 각 5석씩 모두 10자리를 향후 두 차례의 의원 임기 동안 보장하기로 합의했다.
평화협상 서명에 앞서 혁명군은 오는 9월13일부터 10차 대표자 회의를 외부인 참관 하에 여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의는 이들이 무기를 소지한 채 진행하는 마지막 회의가 될 것이라고 혁명군 쪽이 밝혔다는 현지 언론들은 보도했다.
혁명군 대원들의 사회복귀가 순탄히 진행될지는 의문이다. 혁명군은 지난 1984년에 정부와 휴전하고 합법적인 정치참여 등 사회복귀를 하려다 실패했다. 우익 민병대들의 잔인한 보복으로 혁명군 쪽 당의 대선 후보가 암살당하고, 그 당원 3000여명이 사망했다. 지금까지 두 차례의 휴전 및 평화협상 추진이 무산됐다.
콜롬비아는 오는 10월12일 국민투표를 통해 이번 평화협정을 승인할 방침이다. 콜롬비아의 뿌리깊은 우익 세력들의 반발이 비등해, 후안 마누엘 산토스 대통령 정부는 정권의 명운을 걸고 있다. 오랫동안 고립된 게릴라 생활을 해온 무장혁명군 대원들 역시 갈 곳이 실제로는 없다. 지난 3월 혁명군의 초청을 받아서 이들의 게릴라 기지를 취재한 <뉴욕 타임스>는 몇몇 간부를 빼고는 대부분의 대원들이 어린 시절부터 게릴라 기지에 살아와서, 사회의 배려가 없다면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콜롬비아 산악 정글에 은거한 이 콜롬비아무장혁명군 기지에는 약 150명의 대원이 생활한다. 매일 새벽 5시15분에 기상해서, 사령관 앞에서 줄지어 점호로써 하루를 시작한다. <뉴욕 타임스> 갈무리
신문이 만난 약 150명의 대원들은 10대 초반에 혁명군에 의해 끌려왔거나, 우익 민병대의 학살을 피하려다가 합류했다. 그들 중 다수가 여전히 10대였다. 이들은 기지에서 사령관의 승인을 받고 사랑과 섹스를 나누는 공동체 생활을 영위하고 있었다.
그 기지의 부사령관 루이시토는 “우리는 무기를 버리고 정치인이 될 것이다”고 말하는 등 간부들은 정치참여를 꾀하고 있었다. 하지만, 10대 대원들은 평화협상 뒤에도 기지에서 그대로 살 수 있는지를 알고 싶어했다. 혁명군이 더이상 마약거래에 대한 세금 징수 등을 할 수 없다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불안해 했다.
이들의 이런 불안은 체포나 투항 등 어떤 형식으로라도 사회에 복귀한 대원들의 삶이 대부분 비극으로 끝난 것을 전해듣기 때문이기도 하다.
9살 때 혁명군에 의해 끌려온 멜리다(20)는 16살이 되어서 부모를 한번 찾아갔다가 아버지의 신고로 갱생시설로 보내졌다. 아버지는 딸을 신고해 상금을 받아서 오토바이를 사려고 했었다. 멜리다는 갱생시설에 적응하지 못하고 수없이 탈출을 시도하다가 결국 현재는 엄마가 되어서 다시 사회 적응을 시도하고 있다고 <뉴욕 타임스>는 전했다. 사회에 나온 대부분의 혁명군 대원들은 우익 민병대에게 보복당하거나 다시 혁명군으로 복귀했다.
혁명군 게릴라 대원들은 결혼은 불가능하나, 그들 사이이 남녀 관계는 일상적이다. 대원들은 부모에게 허락을 받듯이 사령관에게 허락을 받고서는 그들끼리 사랑를 나눈다. <뉴욕타임스> 갈무리
1964년에 창설된 콜롬비아무장혁명군은 부패한 콜롬비아 우익 정부에 맞서 사회주의 혁명을 위해 투쟁하다가, 80년대 이후부터 혁명 자금 조달 명목으로 마약거래와 인질 납치에 손을 댔다. 콜롬비아가 세계 최대의 마약 공급원으로 떠오르자, 마약 재배 및 거래를 놓고 메데인, 칼리 등 마약카르텔 및 우익 민병대들과 잔인한 상호 보복전을 벌였다.
혁명군은 마약 거래 등으로 최대 1만7000명까지 세력이 커졌다가 1990년대 말 이후 미국 정부의 대대적인 콜롬비아 마약 단속 정책으로 마약카르텔과 함께 약화됐다. 현재는 약 7000명의 대원이 콜롬비아의 정글에서 고립 분산되어 있다. 52년의 내전 기간 동안 모두 22만명이 숨지고, 4만명이 실종되고, 570만명이 난민이 됐다.
콜롬비아의 산악 정글에서는 혁명군들이 여전히 소총과 수류탄을 손에 쥐고 고단함과 불안, 희망이 교차하는 체 게바라의 노래를 부르고 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