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미국 워싱턴 상원 의회에서 열린 청문회에서 제임스 코미 미 연방수사국 국장이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워싱턴/AP 연합뉴스
미국 법무부 감찰관이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이메일 스캔들에 대한 법무부와 연방수사국(FBI)의 수사 전반에 대한 내부 감사에 들어갔다. 지난 대선 막판 선거개입 비판을 받아온 연방수사국의 이메일 스캔들 재수사 결정에 조사가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마이클 호로위츠 감찰관은 12일 미 의회 정부개혁감독위원회 등의 요청에 따라 지난 대선 기간동안 법무부와 연방수사국의 이메일 스캔들 수사에 대한 감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호로위츠 감찰관은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조사의 대상이 되는 기간은 제임스 코미 연방수사국 국장이 이메일 스캔들 수사를 종결하며 불기소 결정을 내렸던 지난 7월 이후로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호로위츠 감찰관은 이어 선거를 불과 1주일 앞두고 연방수사국이 과거 빌 클린턴 대통령의 사면에 관련한 수사 기록을 공개한 배경에 대해서도 감찰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연방수사국은 클린턴 전 장관이 국무장관 시절 사설 이메일 서버를 구축해 국가기밀을 포함한 공문서를 주고받은 혐의인 이메일 스캔들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대선에 개입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코미 국장은 지난해 7월 이메일 스캔들 조사 결과 무혐의 처리하며 불기소 방침을 발표했지만, 대선을 불과 열흘여 앞둔 10월28일 이메일 스캔들과 관련된 문서가 클린턴의 비서인 후마 애버딘의 남편 앤서니 위너의 노트북에서 발견됐다는 이유를 들어 돌연 재수사를 결정했다. 재수사 발표에 앞서 법무부 관계자들은 코미 국장에게 현재 수사하고 있는 내용에 대해 밝히지 않는다는 것과, 선거를 앞두고 특정 후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법무부의 규정을 위반한다는 이유를 들며 재고를 요청했으나, 코미 국장은 재수사 발표를 강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방수사국의 이메일 스캔들 재수사를 둘러싼 논란이 거세지자, 코미 국장은 대선 이틀 전인 지난해 11월6일 수사를 접으며 무혐의 처리했다. 그러나 연방수사국의 발표 뒤 클린턴 전 장관의 지지율은 곤두박질치는 양상을 보였고, 결국 대선에서 트럼프가 승리하는 이변을 낳았다.
클린턴 쪽은 이번 감찰을 두고 “공정한 기구라는 연방수사국의 명성을 되찾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감찰 결정에 백악관의 입김이 들어갔다는 의혹을 의식한 듯 “정부는 감찰관의 독립성을 성실히 보호한다”며 이번 감찰이 호로위츠 감찰관의 자체 결정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황금비 기자
with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