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18일 농무장관에 서니 퍼듀(70) 전 조지아 주지사를 지명해, 자신의 내각 인선을 마무리했다. 진용을 갖춘 트럼프 행정부 내각의 청문회 과정을 보면, 상대적으로 외교안보 분야 인사들은 기존 주류 노선에 친화적 입장을 보인 반면, 사회경제 분야 인사들은 트럼프의 의제를 적극적으로 지지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평가했다.
윌버 로스 상무장관 후보자는 18일 청문회에서 트럼프가 재협상이나 폐기를 공언했던 북미자유무역협정(나프타)에 대해 “가장 먼저 손보겠다”고 말했다. 그는 “철강과 알루미늄 덤핑을 막기 위해 고율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해, 중국과 한국 등을 겨냥한 무역보복을 시사했다.
베치 디보스 교육장관 후보자는 17일 청문회에서 “교내 총기 소지 여부에 대한 결정은 (연방정부가 아닌) 지방과 주 정부 관리들이 해야 한다”고 말해, 학교 내에서 총기소유 찬성을 시사했다. 그는 민주당 의원들이 공립학교 체제를 붕괴시킨다고 비판하는데도, 학교 선택권을 강조하는 바우처 제도와 자율형 공립학교인 차터 스쿨 확대를 적극 지지했다.
하지만 렉스 틸러슨 국무, 제임스 매티스 국방, 제프 세션스 법무, 마이크 폼페이오 중앙정보국(CIA) 국장, 존 켈리 국토안보부 장관 후보자들은 트럼프 당선자의 친러시아 기조와 주요 공약인 멕시코 장벽 설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및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에 대한 회의, 고문 부활 등에 반대하거나 완화된 견해를 보였다. 이는 트럼프 대외정책을 반대하는 세력이 많은 의회 인준을 고려한 측면이 있기도 하지만, 트럼프의 대외정책을 그대로 수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현실적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매티스 국방장관 후보자는 12일 청문회에서 “러시아와 연대할 수 있는 영역은 줄고, 적대시할 영역은 늘고 있다”, “동맹과 함께하는 국가는 번영하고 동맹과 함께하지 않는 국가는 정체한다”, “(나토는) 세계 현대사에서 가장 성공적 동맹”이라고 말해 미국의 기존 외교안보 질서를 그대로 따르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틸러슨 국무장관 후보자도 11일 청문회에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을 반대하지 않는다”고 했다. 켈리 국토안보부 장관 후보자는 멕시코 국경 장벽에 대해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20일 출범 때 의회 인준을 받는 내각 구성원은 매티스 국방장관, 켈리 국토안보부 장관, 폼페이오 중앙정보국장, 일레인 차오 교통장관, 벤 카슨 주택장관 등 4~5명에 불과할 것이라고 <폴리티코>는 진단했다. 핵심 부처인 국무, 재무,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등은 전력과 재산 등이 이해충돌을 일으켜 인준에 진통이 예상된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