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브리핑실에서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워싱턴/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일부 부처가 언론 및 대중과의 소통을 차단하는 조처를 취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쪽은 지난 대선에서 불법 투표가 있었다는 일방적 주장도 계속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환경 및 과학정책 관련 부처는 보도자료 배포를 중단하는 한편 소셜미디어 등의 사용도 금지하는 조처를 했다고 <워싱턴 포스트> 등 미국 언론들이 24일 보도했다. 환경청 직원들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어떤 것도 밖으로 유출하지 마라”, 이를 감독하기 위해 “디지털 전략가가 책임질 것이다” 등의 메모를 받았다. 농무부 산하 농업연구청도 정부 문서를 국민에게 공개하는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직원들에게 지시했다고 <에이피>(AP) 통신이 전했다. 이 조처에는 사전에 신청한 국민에게 소식지 발송, 소셜미디어 포스팅, 언론에 대한 보도자료 제공 금지가 포함됐다.
국립보건원을 비롯한 보건복지부 산하 기관장들은 정부가 검토하기 전에 새로운 규정이나 지침을 공공게시판에 게재하거나 홍보 관계자들과 공유하지 말라는 이메일을 받았다고 <허핑턴 포스트>가 내부 메모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에 대해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우리가 정책을 재고한다고 해서 놀라운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정부는 대통령 취임일인 20일에도 내무부 직원들에게 별도 지시가 있을 때까지 트위터 계정에 글을 올리는 것을 금지한 바 있다.
백악관은 ‘지난 대선에서 불법 투표 때문에 총득표수에서 힐러리 클린턴에게 졌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도 계속 이어갔다. 스파이서 대변인은 이 주장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이 가진 연구들과 정보에 근거해 오랫동안 그것을 믿은 것”이라고 강변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불법 투표에 대해 수사를 요구할지에 대해선 “아마도 우리가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의 불법 투표 주장에 대해선 공화당 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폴 라이언 하원의장은 “증거가 없다”고 강조했다. 린지 그레이엄 공화당 상원의원은 “그런 주장을 하는 건 민주주의에 대한 믿음을 약화시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