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8일 플로리다 맬버른으로 가는 비행기 안에서 기자들과 이야기를 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북한 관리들과 미국의 대북 전문가들이 뉴욕에서 반민반관 성격의 ‘1.5트랙’ 대화를 갖기 위해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관리들이 미국을 방문하려면 국무부의 비자 발급 승인이 필요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대북 정책을 가늠하는 시금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 포스트>는 19일(현지시각) 도널드 자고리아 미 외교정책위원회(NCAFP) 부회장이 몇주 안에 뉴욕 대화를 위해 준비하고 있다며, 북한 쪽에선 정부 관리들이, 미국 쪽에선 전직 행정부 관리 등이 참여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북한 대표팀을 이끌 관리로는 최선희 북한 외무성 미주국장이 거론된다.
이번 대화가 성사되면 트럼프 행정부 들어 첫 반민반관 북-미 대화이며, 특히 뉴욕에서 북한 관리들과 미국 대북 전문가들이 만나는 것은 지난 2012년 3월 이후 처음이다. 당시 북한에서는 리용호 북한 외무성 부상(현 외무상)과 최선희 국장 등이 참석한 바 있다.
국무부는 현재 ‘1.5 트랙’에 참여할 북한 관리들의 비자 발급 여부를 결정하지 않고 있다. 북한이 최근 탄도 미사일 발사 시험을 했고, 또 ‘김정남 피살’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지시로 의심받는 상황이어서 대화 주선 자체가 더욱 복잡해졌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워싱턴 외교 소식통도 “미국 주최자 쪽이 비자 발급을 국무부에 강하게 요청하고 있다”며 “국무부는 상당히 신중한 편”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북한이나 트럼프 행정부 양쪽이 상대방을 원색적으로 비난하지 않으며 탐색전을 벌이고 있어, 추가 악재가 터지지 않으면 국무부가 비자를 발급할 가능성이 있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