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미국 백악관에서 열린 전미 주지사협회의 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언하고 있다.워싱턴/AP 연합뉴스
미국 백악관 대변인실에서 내부 정보 유출자를 색출하기 위해 직원들의 휴대전화 통화기록을 뒤진 것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작품이라는 증언이 잇따라 나왔다.
미국 <시엔엔>(CNN) 방송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이 대변인실 직원들의 휴대전화를 불시 점검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승인을 통해 이뤄진 일이었다고 27일(현지시각) 전했다. <시엔엔>은 지난 24일 <뉴욕 타임스>, <버즈피드>, <시엔엔> 등 ‘러시아 게이트’와 관련해 트럼프에 비판적인 보도를 한 몇몇 언론 매체를 ‘프레스 개글’(비공식 브리핑)에서 제외시킨 스파이서 대변인의 결정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승인이 있었다고 보도했다.
지난주 스파이서 대변인은 직원 20여명을 자신의 사무실로 불러 개인용·사무용 휴대전화에 남아있는 통화기록을 불시에 점검했고, 이 자리에서 “정보 유출자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 앞으로 있을 조사는 더욱 혹독할 것”이라고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파이서 대변인은 지난 17일 홍보 전문가인 마이크 더브커를 백악관 신임 공보국장으로 지명하기로 한 사실이 언론에 먼저 보도되자, 대변인실 회의 참석 직원들 가운데 한 명이 이를 유출한 것으로 보고 이같은 조처를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파이서는 불시 점검을 끝낸 뒤 직원들에게 이를 외부로 유출하지 말라고 경고했으나, 그 사실마저 곧 언론을 통해 공개됐다.
한편 스파이서 대변인은 이 보도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승인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대통령은 내가 한 일도 모르고 있었을 것”이라며 관련 내용을 부인했다.
황금비 기자
with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