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중국 선양시에서 한 관광객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밀랍 인형을 만져보고 있다. 선양/AFP 연합뉴스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운영했던 트럼프 기업의 상표에 대해 전격적으로 예비승인 조처를 했다. 상표 승인이 이례적으로 매우 빠르게 이뤄졌다는 ‘외교적’ 의혹과 공적 업무와 개인 사업 사이의 이해충돌이라는 ‘국내정치적’ 논란이 동시에 불거지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4월 트럼프 기업이 상표등록 신청을 한 지 10개월만인 지난달 27일 상표 38개에 대해 예비승인 조처를 했다고 <에이피>(AP) 통신 등이 8일 전했다. 특별한 반대가 없을 경우, 이 상표는 90일 안에 공식 상표로 등록된다. 이들 상표에는 호텔업·보험업을 비롯해 부동산회사, 식당, 여행 관련 에스코트 서비스 등이 망라된 것으로 알려졌다. 35개 상표에 ‘트럼프’ 명칭이 들어가 있으며, 상표 가운데 3개는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가 사업 확장을 꾀하고 있는 ‘사이언 호텔’ 브랜드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당국이 10개월만에 상표 승인을 내준 건 매우 이례적이다. 트럼프 기업의 건설 상표 등록은 지난 10년간 중국 당국과 법적 분쟁을 거듭했으나,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하자, 3주 뒤인 지난 2월14일 이뤄졌다. 홍콩에 있는 컨설팅 그룹 관계자는 “중국에서 이렇게 빠른 시일(10개월) 안에 해외기업 상표가 등록된 건 처음”이라고 말했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중국이 미국의 투자 유치를 이끌어내기 위해 트럼프 기업의 상표 등록을 활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의 이례적인 상표 승인을 둘러싸고 미국 내에서는 공직 수행과 사적 이익간 ‘이해충돌’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민주당의 벤 카딘 상원의원은 “중국이 미 대통령 개인 관련 사업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 이를 바탕으로 (중국의) 잠재적 이익을 추구하려는 의도가 명확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 당시 백악관 윤리고문을 지낸 리처드 페인터는 “짧은 기간에 매우 많은 상표가 등록된 점에 대해 분명 (중국의) 편의가 있었을 것이라는 의혹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 기업의 중국 자문 변호사인 스프링 창은 “중국 정부로부터 어떤 특혜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트럼프 기업과 관련한 자신의 지분을 백지신탁하고 자녀들에게 운영권을 넘기겠다고 약속했지만, 트럼프 기업 운영이 정부 정책에서 완전히 자유로울수 없다는 비판이 줄곧 제기돼 왔다.
황금비 기자
with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