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오른쪽 여섯번째)이 4일 아세안 외무장관들과 회담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출처: 미국 국무부 누리집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대화를 위한 최대의 압박’이라는 대북 정책 기조 속에서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대해서도 북한과의 외교 관계 축소와 자금줄 차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4일(현지시각) 워싱턴에서 열린 미-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외교장관 회담에서 “아세안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결의를 철저하게 이행하는 적절한 조처를 취할 것”을 요청했다고 미 국무부 당국자가 이날 전했다.
패트릭 머피 국무부 동남아담당 부차관보는 이날 회의 뒤 기자회견을 통해 틸러슨 장관이 한반도 비핵화가 목표라는 점을 분명히 한 뒤 이렇게 밝혔다고 소개했다.
머피 부차관보는 “미국은 아세안을 포함해 여러 나라들에게 북한으로 들어가는 수익을 차단하는 노력을 취하도록 요청하고 있다”며 “북한이 핵과 미사일 개발이라는 야망을 위해 외교 채널로 수익을 얻지 못하도록 외교 관계를 최소화하도록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머피 부차관보는 “북한과 단교를 바라는 것은 아니다”라며 북한 노동자의 체류 연장이나 돈세탁·밀수, 합법을 가장한 사업체 등에 대한 조사를 요구했다.
앞서 틸러슨 장관은 지난달 28일 안보리 북핵 장관급회의를 주재해 “(유엔 회원국들이) 북한과의 외교 관계를 정지·격하해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다. 현재 아세안 회원국 10개국은 모두 북한과 외교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인도네시아·베트남·라오스·캄보디아·말레이시아 등 5개국은 평양에 대사관이나 대표부를 두고 있다. 한편 국무부는 이날 회의에서 남중국해 문제 등도 논의됐다고 밝혔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