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오른쪽)과 고노 다로 일본 외상이 17일 워싱턴 국무부에서 미·일 외교·국방장관 안보협의회를 마치고 기자회견장에 나오고 있다. 워싱턴/신화 연합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은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과 공동명의로 지난 13일 언론에 기고한 대북 정책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승인을 받은 것”이라고 17일 강조했다. 두 장관은 당시 <월스트리트 저널>에 북한과의 협상 의향을 밝히고 북한 정권 교체나 통일 가속화 등에 관심이 없다는 내용의 기고문을 실었다.
틸러슨 장관은 이날 트럼프 행정부 들어 처음 열린 미·일 외교·국방장관 안보협의회 뒤 국무부 청사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우리의 (제재·압박) 노력은 북한이 회담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틸러슨 장관은 “미·일이 북한 비핵화를 향해 실질적인 압력을 늘리기로 합의했다”며 “북한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중국에도 구체적 조처들을 취하라고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압박 공세 전략이 △국제적 단합 △중국의 협조 수준 △압박의 강도라는 세 측면에서 이전의 대북 정책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틸러슨 장관은 “우리가 현재 직면한 수위의 위협 상황에서는 어떤 외교적 노력을 해도 북한이 잘못된 선택을 할 경우에 대비해 강력한 군사적 영향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매티스 장관도 같은 자리에서 “필요하다면 어떤 위협도 격퇴할 것이다. 북한이 적대 행위를 개시하면 실질적·압도적인 대응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그는 “일본이나 괌, 미국 본토, 한국 영토를 향해 미사일을 발사하면 격추를 위해 즉각적이고 구체적인 조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매티스 장관의 발언은 대북 군사 행동을 선제적으로 하지는 않겠지만, 미국이나 동맹국이 공격을 받으면 물리적 대응을 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미사일 격추’는 미사일 방어체계를 통해 요격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백악관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안보팀과 함께 18일 대통령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아프가니스탄 문제 등을 논의한다고 밝혀, 북한 문제도 거론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