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올림픽 휴전 결의안’이 내달 중순 유엔 총회에서 채택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태열 유엔주재 대사는 15일(현지시각) 국회 외교통상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내년 평창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개최국으로서 올림픽 휴전 결의를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유엔 고위 소식통은 “현재 한국 주도로 문안을 협상 중”이라며 “다음달 13일 유엔 총회에서 채택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결의안은 총회 본회의에 상정되는 당일 채택하는 과정을 거친다. 결의안은 개막 7일 전부터 폐막일 이후 7일까지 모든 적대 행위를 하지 말자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은 하계·동계올림픽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관례적으로 2년마다 ‘올림픽 휴전 결의’를 채택해왔다.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처럼 구속력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한반도의 긴장이 고조된 상황에서 상징적인 의미가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고대 그리스 올림픽 때도 대회 기간 중에는 도시국가 간에 휴전을 실시하는 등 역사적 의미도 있다. 앞서 청와대는 지난달 19일 문재인 대통령의 유엔 총회 참석에 맞춰 휴전 결의안을 유엔 총회에 제출했다고 밝힌 바 있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