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대중국 무역 제재가 시작되고 있다.
미 상무부는 28일 업계의 요청이 없는데도 자체적으로 중국산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들어갔다고 <파이낸셜 타임스>가 29일 보도했다. 상무부의 자체 발의 반덤핑 조사는 1985년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가 일본 반도체 수입품에 대해 조사를 벌인 이후 처음이다.
상무부는 또 중국의 강판 산업에 제공되는 불법적 보조금에 대해서도 자체적으로 조사에 착수했다. 상무부의 자체 발의 보조금 조사 또한 1991년 캐나다 목재산업에 대한 조사 이후 처음이다.
상무부는 이날 또 이 조처들과는 별개로 중국산 공구상자와 캐비닛 수입품에 대해 징벌적 관세를 96%까지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윌버 로스 미 상무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이 행정부 하에서 불공정 무역은 용인되지 않을 것이라고 명확히 했고, 미국 기업과 노동자, 농부들에게 우리 무역법을 강력히 집행할 것이라고 약속했다”며 “오늘 조처는 미국인들에게 그 약속을 지킬 것임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번 조처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무역에 대한 워싱턴의 원칙에서 벗어나고 있음을 상징한다고 <파이낸셜 타임스>는 지적했다. 보조금이나 덤핑에 대한 조사는 통상적으로 업계의 요청 사항이다. 그런 무역분쟁에 대한 상무부의 결정은 법원 판결에 준한다. 이 때문에 미국의 무역 상대국들은 상무부의 자체 발의 조사에 대해 불만을 제기해왔다. 로스 장관이 결정한 이번 조처로 상무부는 자신이 판정하는 무역분쟁에 당사자로서 개입하게 됐다고 이 신문은 평했다.
로스 장관은 상무부가 수집한 증거들로 볼 때 중국 생산업자들이 미국에서 알루미늄판을 공정한 가격보다 싸게 팔고 있고, 베이징 당국이 수출품들에 불공정한 보조금을 주고 있어 미국 산업이 희생되고 있음이 드러났다고 말했다. 문제가 된 중국산 알루미늄판 수입은 2016년 6억달러 이상이었다.
알루미늄판과 강판 수입품에 대해서는 이미 지난 봄에 국가 안보 차원에서 조사가 시작돼, 최근 늘어나는 중국산 수입품을 겨냥한 것이라는 논란이 일었다. 이 조사는 내년 1월 마감된다. 중국의 지식재산권 침해에 대한 조사도 진행중이고, 몇달 안에 결론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의회 역시 미국 내 외국인 직접투자에 대한 검증을 강화하는 입법안을 고려중이다. 중국은 최근 미국의 반도체 등 전략 분야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중국 방문 때 미국에 대한 중국의 대규모 투자와 구매를 약속받고는 양국 교역 문제를 놓고 중국을 공격하지 않았다. 하지만 미국 국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약속한 대중국 무역 제재가 미뤄진 데 대해 그의 지지층을 중심으로 불만이 고조돼왔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