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민세관집행국 관계자들이 편의점 체인 세븐일레븐을 단속하고 있는 모습. AP 연합뉴스
연일 적극적인 ‘이민 제한’ 조처를 내놓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이번엔 편의점 체인 세븐일레븐을 급습해 대대적인 불법 이민 노동자 단속을 벌였다. 불법 이민자를 채용하는 업계에 가장 상징적인 경고 시그널을 줄 수 있는 ‘타깃’을 선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뉴욕타임스> 등 외신은 10일(현지시각) 새벽 미 이민세관집행국(ICE)이 17개 주의 98개 세븐일레븐 매장을 급습해 고용감사통지서를 전달하고 불법 이민 노동자 21명을 체포했다고 보도했다. 워싱턴, 캘리포니아, 플로리다 등에서 단속이 이뤄졌고, 98개 매장 중 16곳이 뉴욕 소재 지점이었다.
이날 단속은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이래 최대 규모의 불법 이민 단속으로 평가된다. 토머스 호먼 이민세관집행국장은 “오늘 조처는 불법 노동력을 고용하는 업계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이고, 법을 어기면 책임을 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직원의 신원을 확인하도록 규정한 연방법을 어기는 업계에 대해 더욱 강력한 감사를 공언했다.
일본 지주회사 세븐 앤 아이 홀딩스 소유의 세븐일레븐은 미국 텍사스에 본사를 두고 미 전역에 6만개 이상의 점포를 두고 있다. 이민 당국이 업계에 불법 이민자 고용에 대한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전하기에 가장 상징적인 업체로 분석된다. 불법 이민자를 많이 쓰는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뉴욕 타임스>는 “세븐일레븐은 24시간 문을 열고, 소규모 자영업을 하는 새로운 합법 이민자들의 디딤돌이 돼왔다”며 “지점들은 고용에 있어서 (직원 신원을) 세심하게 살피지 않는다”고 짚었다. 이민세관집행국은 2013년에도 버지니아주 롱아일랜드에서 세븐일레븐 점주 9명을 체포했다. 당시 몇몇 업주들은 유죄를 선고 받고 지점 계약을 파기당했다. 노동자들한테 수백만달러의 체불 임금을 지급하기도 했다.
세븐일레븐 본사는 성명에서 각 지점은 독립적인 점주에 의해 운영된다면서 “미국에서 일할 자격이 있는지 확인된 직원을 고용하는 것을 포함해 직원에 대해서는 점주가 책임진다”고 밝혔다. 성명은 “세븐일레븐은 이민법을 진지하게 준수하며, 법을 위반한 지점들과 지점 계약을 종료해왔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행정부가 공격적인 반이민 정책을 펼친 이후, 지난해 이민세관집행국의 단속 실적은 전년 대비 40% 증가했다. 지난해 1360건의 고용 감사를 벌였고, 범죄 및 행정법 위반으로 300명 이상을 검거했다. 이민세관집행국은 조지 부시 행정부 시절에는 주로 정육가공 공장, 과일 거래상, 세차장 및 거주지 급습 등으로 단속을 벌였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 때는 국경 수비를 강화하고 범죄자들을 추방하는 방식이 주를 이뤘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