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리시오 마크리 아르헨티나 대통령은 8일 텔레비전으로 중계된 연설을 통해 국제통화기금에 구제금융을 요청했다고 밝히고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AFP 연합뉴스
아르헨티나가 통화가치 폭락에 따른 금융 불안으로 다시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했다. 재정이 취약한 다른 신흥국들로 위기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마우리시오 마크리 아르헨티나 대통령은 8일 텔레비전 연설에서 “우리 역사에서 전에 경험한 것들과 같은 위기”를 피해야 한다며 국제통화기금에 구제금융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외신들은 마크리 대통령이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 총재와의 회담에서 선제적 조처로 300억달러(약 32조원)의 구제금융을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아르헨티나는 페소화 가치가 지난 1년간 25%나 떨어지고 투매 사태가 벌어지면서 최근 금리가 급등하는 금융위기로 휘말려 들어가고 있다. 지난주에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33.25%에서 40%로 올렸다. 최근 8일 동안 기준금리는 세 차례나 올랐다.
아르헨티나의 구제금융 요청은 17년 만이다. 하지만 금융위기 직후인 2003년에 집권한 좌파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드 키르츠네르 대통령 정부는 구제금융 조건인 긴축 정책으로 아르헨티나 경제가 더 위축된다고 반발하다가, 2006년 채무불이행을 선언하고는 국제통화기금과의 관계를 단절했다.
2015년 집권한 우파 마크리 정부는 좌파 정부의 보호주의 및 재정 확장 정책을 되돌리고, 규제 완화와 민영화 등 시장주의 개혁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아르헨티나 경제의 고질병인 인플레이션이 25%에 이르면서, 올해 들어서면서 금융위기 조짐이 일었다.
키르츠네르 전 대통령은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부채를 가진 나라를 물려받은 뒤 마크리는 국제통화기금의 처방에 호소해야 한다고 선언했다”며 “우리는 과거 쪽으로 미래를 바꾸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마크리 대통령은 텔레비전 연설에서 “문제는 우리가 물려받은 엄청난 공공 지출의 결과로, 우리가 대외 금융에 가장 의존하는 국가의 하나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과도한 공공 지출 때문에 커진 재정 적자를 메우려고 국제 금융시장에서 돈을 빌려야 하는 사정에 위기의 책임을 돌린 것이다.
아르헨티나는 이번에는 국제통화기금의 엄격한 조건이 부과되지 않는 ‘신축적 신용라인’(FLC) 형태로 구제금융을 받으려 하나 가능하지 않을 것이라고 <파이낸셜 타임스>가 전문가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다른 신흥국으로 위기가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미국의 6월 기준금리 인상이 기정사실화돼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서, 부채가 많고 재정이 취약한 신흥국들의 통화가치가 떨어질 것이라는 예상에 대규모 자금 유출이 벌어지고 있다.
브라질도 달러 대비 헤알화 가치가 연초 대비 6.6% 하락하며 자금 유출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터키도 리라화 가치가 국가 신용등급 강등 와중에 지난 4일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러시아 루블화도 미국발 경제 제재가 더해지며 이달 들어서만 8.9% 하락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