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이언 훅 미국 국무부 정책기획국장이 2일 언론브리핑에서 이란 석유 수입을 오는 11월4일까지 완전히 중단하라는 미국의 요구를 완화하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워싱턴/AFP 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이란산 석유 수입을 11월4일까지 전면 중단하라는 요구를 완화했다.
브라이언 훅 미국 국무부 정책기획국장은 2일 “우리는 이란산 석유 수입을 줄이는 나라들과 사안에 따라 협력할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 이란산 석유 수입을 ‘제로’로 만들라는 애초 요구를 완화하고 단계적 수입 감축이라는 타협책을 내놓은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미국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지난달 26일 ‘특별 브리핑’에서 이란산 석유를 수입하는 모든 나라들에 ‘11월4일까지 예외 없이 수입을 완전히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그는 이를 거부하면 미국이 제재를 가하겠다고 경고도 했다.
미국의 입장 변화는 이란산 석유 금수 요구 등으로 유가가 치솟자, 미국과 동맹국들이 입을 피해를 줄이려는 의도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란산 석유를 많이 수입하는 나라는 중국, 인도, 한국, 터키 순이다.
애초 미국 정부가 이란산 석유를 수입하지 말라고 요구했을 때, 한국(전체 원유 수입량의 13.2%가 이란산) 등에선 정해진 기일 안에 대체 공급처를 찾는 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그 여파로 국제 유가는 지난달 말 3년7개월만의 최고치인 배럴당 80달러 가까이까지 급등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에 하루 200만배럴 증산을 요구하기도 했다.
하지만 훅 국장은 “우리의 정책은 가능한 한 빨리 (이란의 석유 수출을) 제로로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상황에 따라 여유를 주겠지만, 결국은 이란산 석유 수입을 전면 중단해야 한다고 재강조한 것이다.
미국은 지난 5월 이란 핵협정을 일방적으로 탈퇴한 뒤 이란을 옥죄려고 석유 금수를 포함한 각종 제재를 가하고 있다. 훅 국장은 이번 주말 오스트리아 빈에서 이란 핵협정 유지를 주장하는 영국, 프랑스, 독일 당국자들과 만나 트럼프 행정부의 협정 탈퇴에 동참하도록 요구할 예정이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