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미국·중남미

[만리재사진첩] ‘달 착륙 50년’ 작은 한 걸음 뒤 위대한 도약

등록 2019-07-17 11:32수정 2019-07-17 11:43

1969년 인류 최초로 달 표면에 착륙에 성공한 뒤 성조기를 달 표면에 세우고 바라보는 버즈 올드린.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1969년 인류 최초로 달 표면에 착륙에 성공한 뒤 성조기를 달 표면에 세우고 바라보는 버즈 올드린.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1969년 7월 20일(그리니치 표준시 기준) 아폴로 11호 선장 닐 암스트롱이 달 표면에 발을 딛었다. 암스트롱은 약 2시간 반 동안 달의 표면에서 지진계 등 과학 장비를 설치하고 달 암석과 토양 샘플도 채집했다. 이로써 유사 이래 신화와 동경의 대상으로 자리잡았던 달이 이성과 과학의 영역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이것은 한 인간에게는 작은 한 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위대한 도약이다."

암스트롱의 유명한 저 말처럼,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은 지구 밖 미지의 땅에 가 닿은 인류의 첫걸음이었다. 2019년 여름 다양한 달 착륙 50주년 기념 미 항공우주국(NASA)와 각국의 우주과학기구들은 다양한 행사들을 열고 있다. 때마침 16일 새벽(우리시각) 일어난 부분월식도 우주를 향한 대중의 호기심을 한층 더 자극했다. 인류의 달 착륙과 그 반세기를 기념하는 지구촌 곳곳의 모습을 사진으로 모아본다.

아폴로 11호 달 착륙 임무를 위한 주요 승무원 3인이 승무원 임무 발표 이튿날인 1969년 1월 10일(현지시각) 미국 나사에서 나란히 서 있다. 왼쪽부터 달 착륙선 조종사 버즈 올드린, 선장 닐 암스트롱, 사령선 조종사 마이클 콜린스.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아폴로 11호 달 착륙 임무를 위한 주요 승무원 3인이 승무원 임무 발표 이튿날인 1969년 1월 10일(현지시각) 미국 나사에서 나란히 서 있다. 왼쪽부터 달 착륙선 조종사 버즈 올드린, 선장 닐 암스트롱, 사령선 조종사 마이클 콜린스.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역사적인 아폴로 11호의 달착륙 임무를 위해 1969년 2월 달 착륙 연구기관에서 훈련중인 닐 암스트롱의 모습.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역사적인 아폴로 11호의 달착륙 임무를 위해 1969년 2월 달 착륙 연구기관에서 훈련중인 닐 암스트롱의 모습.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1969년 7월 16일 오전 9시 32분(미국 동부 시간) 미국 플로리다주의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아폴로 11호의 발사 장면을 지켜보는 관계자들.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1969년 7월 16일 오전 9시 32분(미국 동부 시간) 미국 플로리다주의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아폴로 11호의 발사 장면을 지켜보는 관계자들.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아폴로 11호가 1969년 7월 16일 오전 9시 32분(미국 동부 시간) 미국 플로리다주의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새턴 5호(Saturn V) 로켓에 실려 발사되고 있다.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아폴로 11호가 1969년 7월 16일 오전 9시 32분(미국 동부 시간) 미국 플로리다주의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새턴 5호(Saturn V) 로켓에 실려 발사되고 있다.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조앤 하딘 모건(가운데)이 1969년 7월 16일 오전 9시 32분(미국 동부 시간) 미국 플로리다주의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아폴로 11호의 발사 장면을 지켜보고 있다. 미국 우주 비행 프로그램의 선구자인 모건은 케네디우주센터의 첫 여성 엔지니어였다. 그는 2003년 은퇴할 때까지 나사에서 다양한 유인 우주 비행 프로그램을 이끌었다.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조앤 하딘 모건(가운데)이 1969년 7월 16일 오전 9시 32분(미국 동부 시간) 미국 플로리다주의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아폴로 11호의 발사 장면을 지켜보고 있다. 미국 우주 비행 프로그램의 선구자인 모건은 케네디우주센터의 첫 여성 엔지니어였다. 그는 2003년 은퇴할 때까지 나사에서 다양한 유인 우주 비행 프로그램을 이끌었다.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버즈 올드린이 달 표면에서의 활동을 위해 사다리를 내려오고 있다. 나사 제공
버즈 올드린이 달 표면에서의 활동을 위해 사다리를 내려오고 있다. 나사 제공
아폴로 11호가 달 착륙 임무 수행 중 촬영한 달 표면의 다이달로스와 다이달로스 B 크레이터의 사진.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아폴로 11호가 달 착륙 임무 수행 중 촬영한 달 표면의 다이달로스와 다이달로스 B 크레이터의 사진.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버즈 올드린이 달 표면에 태양풍 실험 장비를 설치하고 있다. 암스트롱과 올드린은 달 표면에서 2시간 13분 12초 동안 머물면서 성조기를 세우고 22㎏의 월석과 토양 샘플을 채집했으며,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반사경과 지진계 등의 과학 장비를 설치는 등의 월면 활동을 한 뒤 귀환했다. 이 사진은 닐 암스트롱이 촬영했다.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버즈 올드린이 달 표면에 태양풍 실험 장비를 설치하고 있다. 암스트롱과 올드린은 달 표면에서 2시간 13분 12초 동안 머물면서 성조기를 세우고 22㎏의 월석과 토양 샘플을 채집했으며,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반사경과 지진계 등의 과학 장비를 설치는 등의 월면 활동을 한 뒤 귀환했다. 이 사진은 닐 암스트롱이 촬영했다.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버즈 올드린이 달 표면에 지진계를 설치하고 있다.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버즈 올드린이 달 표면에 지진계를 설치하고 있다.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미 해군이 1969년 7월 24일(현지시각) 총 8일 3시간 18분 35초간의 비행을 마치고 태평양 해상에 무사히 안착한 아폴로11호의 사량선 `컬럼비아'에 접근하기 위해 헬기에서 하강 준비를 하고 있다. 미 해군 제공
미 해군이 1969년 7월 24일(현지시각) 총 8일 3시간 18분 35초간의 비행을 마치고 태평양 해상에 무사히 안착한 아폴로11호의 사량선 `컬럼비아'에 접근하기 위해 헬기에서 하강 준비를 하고 있다. 미 해군 제공
1969년 7월 24일 리처드 닉슨 당시 미국 대통령이 격리용 밴 안에 탑승한 암스트롱과 올드린, 마이클 콜린스를 맞이하며 손으로 오케이 사인을 만들어보이고 있다. 닉슨은 이들을 향해 “당신들이 이룩한 일로 인해 우주는 인간 세계의 일부가 됐다”라고 찬사를 보냈다. AP 연합뉴스
1969년 7월 24일 리처드 닉슨 당시 미국 대통령이 격리용 밴 안에 탑승한 암스트롱과 올드린, 마이클 콜린스를 맞이하며 손으로 오케이 사인을 만들어보이고 있다. 닉슨은 이들을 향해 “당신들이 이룩한 일로 인해 우주는 인간 세계의 일부가 됐다”라고 찬사를 보냈다. AP 연합뉴스
1969년 7월 20일 인류 최초로 달 표면을 밟은 아폴로 11호 우주인 닐 암스트롱이 입었던 우주복 A7-L이 미국 워싱턴D.C.의 국립항공우주박물관에서 공개되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1969년 7월 20일 인류 최초로 달 표면을 밟은 아폴로 11호 우주인 닐 암스트롱이 입었던 우주복 A7-L이 미국 워싱턴D.C.의 국립항공우주박물관에서 공개되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달 착륙 50주년을 앞두고 아폴로 11호 달 착륙선의 `타임라인(시간표) 수첩'이 18일 미국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 나온다. 지난 12일 크리스티 경매소의 한 직원이 수첩을 공개하고 있다. 뉴욕/AP 연합뉴스
달 착륙 50주년을 앞두고 아폴로 11호 달 착륙선의 `타임라인(시간표) 수첩'이 18일 미국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 나온다. 지난 12일 크리스티 경매소의 한 직원이 수첩을 공개하고 있다. 뉴욕/AP 연합뉴스
아폴로 11호 발사 50주년인 16일(현지시각) 미국 앨라배마주 헌츠빌의 미 우주 로켓센터에서 모형 로켓들이 발사되고 있다. 행사 주최 쪽은 모형 로켓 5천 대를 동시 발사해 기네스북 기록 깨기에 도전했다. 헌츠빌/AP 연합뉴스
아폴로 11호 발사 50주년인 16일(현지시각) 미국 앨라배마주 헌츠빌의 미 우주 로켓센터에서 모형 로켓들이 발사되고 있다. 행사 주최 쪽은 모형 로켓 5천 대를 동시 발사해 기네스북 기록 깨기에 도전했다. 헌츠빌/AP 연합뉴스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 50주년을 기념해 16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기념탑에 아폴로11호의 발사선 역할을 담당했던 새턴 5호의 이미지가 비춰지고 있다. 워싱턴/EPA 연합뉴스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 50주년을 기념해 16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기념탑에 아폴로11호의 발사선 역할을 담당했던 새턴 5호의 이미지가 비춰지고 있다. 워싱턴/EPA 연합뉴스
1969년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으로 달 표면에 찍힌 인간의 발자국. 아폴로 11호의 선장 닐 암스트롱은 이에 대해 “이것은 한 인간에게는 작은 한 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위대한 도약이다”라고 말했다.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1969년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으로 달 표면에 찍힌 인간의 발자국. 아폴로 11호의 선장 닐 암스트롱은 이에 대해 “이것은 한 인간에게는 작은 한 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위대한 도약이다”라고 말했다. 나사 제공 AP 연합뉴스
정리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