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가 2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위대를 향해 무력을 사용할 수 있다고 엄포를 놓은 글이 "가학적인 행위에 관한 운영원칙을 위반했다"며 '숨김 처리'를 해버렸다.
트위터는 앞서 세 차례 트럼프 대통령의 글에 경고 딱지를 붙였는데, 아예 글을 숨겨버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에 "내가 대통령인 한 워싱턴DC에는 결코 '자치구'는 없을 것"이라며 "만약 그들이 그러려고 한다면 심각한 물리력을 마주하게 될 것"이라는 글을 올렸다.
트위터는 해당 트윗을 숨긴 처리한 뒤 그 글을 읽으려면 따로 '보기'를 누르도록 조치했다. 그러면서 "이 트윗은 가학적인 행위에 관한 트위터의 운영원칙을 위반했다"고 안내했다. 트위터는 다만 "공익 측면에서 이 트윗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고 결정했다"며 해당 트윗을 삭제하지는 않았다. 대신 '좋아요' 누르기는 물론 답장과 공유, 리트윗 등이 불가능하도록 조치했다. 일반적으로 트위터는 운영원칙을 위반한 글을 삭제하지만, 선출직과 공무원의 행동과 진술을 알고 토론할 때 얻을 수 있는 상당한 공익을 고려해 이들의 트윗은 예외로 지정해 기록을 남겨둔다고 부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제의 트윗을 올리기 약 2시간 전에는 "미국 연방정부에 기념비나 동상, 기타 연방 재산을 훼손하거나 파괴하는 사람을 체포하고, 최고 10년의 징역형을 받을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조치는 즉시 효력이 발생하고 소급적용까지 가능하다며 "예외는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고는 워싱턴DC에서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시위대가 백악관 앞라파예트 광장에 있는 앤드루 잭슨 7대 대통령 동상을 철거하려다 경찰에 해산된 다음 날 나왔다.
20달러 지폐에 얼굴이 그려진 잭슨 전 대통령은 미국에서 '전쟁 영웅'으로 칭송받아왔지만, 미국 땅에서 원주민을 내쫓은 역할 등을 재평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용납할 수 없다고 밝힌 '자치구'는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벌어지고 있는 인종차별 반대시위를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고 AFP, 블룸버그 통신 등이 전했다.
시애틀 시위대는 지난 8일부터 2주 넘게 도심 관광 명소인 캐피톨 힐 지역을 점거하고 '자치 구역'으로 선언해 당국과 대치하고 있다.
앞서 트위터는 트럼프 대통령이 올린 글과 영상 등에 "팩트체크 필요하다", "폭력을 미화해 규정을 위반했다", "조작된 미디어"와 같은 '경고 딱지'를 세 차례 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