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미국·중남미

바이든 51%-트럼프 42%…코로나 확진 뒤 격차 더 커졌다

등록 2020-10-07 19:00수정 2020-10-19 14:45

한달도 안 남은 대선…굳어지는 판세
1차 토론 이후 벌어진 지지율
부동층 감소하며 추세 고착화

CNN 조사에선 격차 16%p나
“유권자 90%가 이미 후보 선택”
뒤지는 트럼프 확장성 줄어들어
경합주도 바이든 안정적 우세로
지난달 29일(현지시각)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열린 미 대선 첫 텔레비전 토론에서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민주당 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발언하고 있다. 클리블랜드/로이터 연합뉴스
지난달 29일(현지시각)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열린 미 대선 첫 텔레비전 토론에서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민주당 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발언하고 있다. 클리블랜드/로이터 연합뉴스

‘격차는 벌어지고, 부동층은 줄어든다.’

지난달 29일(현지시각) 미국 대통령 선거 후보 1차 텔레비전 토론회와 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19 감염 이후 미국 대선 추세다.

1차 토론회 이후 여론조사에서 조 바이든은 지지율이 올라가고 트럼프는 내려가는 흐름이었는데, 사흘 뒤 트럼프의 코로나19 확진 사실이 공개되면서 이런 추세가 더욱 고착되는 모양새다. 두 후보의 격차가 10%포인트 이상 벌어진 여론조사가 잇따르는 가운데, 격차가 최대 16%포인트에 이르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지난 1~4일에 조사돼 6일 발표된 <시엔엔>(CNN)·에스에스아르시(SSRC) 조사에서 바이든은 57%, 트럼프는 41%로, 격차가 무려 16%포인트로 벌어졌다. 트럼프의 코로나19 감염이 반영된 조사로, <시엔엔>의 이번 대선 여론조사 중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이 방송의 8월 말 조사에서는 격차가 8%포인트였는데, 두배로 벌어졌다.

앞서 <월스트리트 저널>과 <엔비시>(NBC)가 9월30일~10월1일 실시한 전국 여론조사에서는 바이든 53%, 트럼프 39%로 격차가 14%포인트로 나타났다. 지난달 29일의 토론회가 반영된 전국 여론조사 9개 중에서 5개가 10%포인트 이상의 바이든 우세를 보여줬다. 또 트럼프의 코로나19 감염이 반영된 5개 조사 중 4개에서 10%포인트 이상 바이든 우세를 보여, 트럼프의 코로나19 감염이 두 후보 간 격차를 더욱 뚜렷이 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전국 여론조사를 종합해 평균을 내는 ‘리얼클리어폴리틱스’의 지지율 평균치는 토론회 이후 바이든의 상승세와 트럼프의 하락세를 드러낸다. 29일 바이든은 49.4%, 트럼프는 43.3%로 격차가 6.1%포인트였는데, 6일 현재는 바이든 51.2%, 트럼프 42.2%로 격차가 9.0%포인트로 벌어졌다.

트럼프에게 전국 지지율 격차보다 심각한 것은 부동층이 거의 없어졌다는 사실이다. 뒤지는 트럼프에게 추가로 더해질 수 있는 표가 적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이번 <시엔엔> 조사에서 유권자의 90%가 이미 후보 선택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8%만이 후보 선택을 바꿀 수도 있다고 답했다. 더욱이 후보 선택을 바꿀 수도 있다고 답한 이들 가운데서도, 바이든에서 트럼프로 바꾸기(8%)보다는 트럼프에서 바이든(10%)으로 옮겨갈 수 있는 비율이 더 높다.

지난 2000년과 2016년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들은 전국 유권자 득표에서 이기고도, 선거인단 수에서 패배했다. 바이든이 유지하는 이 정도의 전국 지지율 격차라면, 그런 이변은 재현되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선거통계 전문가인 네이트 실버는 자신의 선거 예측 사이트인 ‘파이브서티에이트’에서 “전국 지지율 격차가 4%포인트 이상이면 우세 후보의 선거인단 승리 가능성이 74%, 격차가 7%포인트 이상이면 그 가능성은 99%”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당락을 직접 결정짓는 경합주에서도 바이든은 안정적 우세로 접어드는 양상이다. 위스콘신·미시간·펜실베이니아·플로리다·애리조나·노스캐롤라이나 등 최대 경합주 6곳의 리얼클리어폴리틱스 평균치 지수는 29일에 바이든 48.6%, 트럼프 45.1%로 3.5%포인트 차이였다. 6일에는 바이든 49.2%, 트럼프 44.8%로 격차가 4.4%포인트로 벌어졌다. 이 지수를 보면, 6일 현재 경합주 6곳 모두에서 바이든이 1.4~6.3%포인트 앞선다.

특히 바이든은 2016년 대선 때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가 패했던 펜실베이니아·미시간·위스콘신에서 9월 초부터 격차를 벌리며 6%포인트 안팎으로 안정적으로 앞선다. 당시 클린턴이 승리했던 공고한 민주당 성향 주와 이들 3개 주만 합쳐도, 바이든은 선거인단(538표) 과반 기준인 270표를 넘는 273표로 승리한다.

한달도 남지 않은 투표일까지 대선 판도를 출렁이게 할 어떤 변수가 돌출할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올해 들어 코로나19 확산,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과 전국적 시위, 최악의 대선 토론회, 트럼프의 코로나19 감염 등 주요 사건에도 양쪽의 격차가 4%포인트 이하로는 줄어들지 않았다. 유권자층이 어느 때보다도 양극화된 상황에서 바이든 우세-트럼프 열세 추세가 굳어져왔다는 뜻이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1.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금’ 쓸어 담은 한국, 11개로 대회 이틀 만에 목표 조기 달성 2.

‘금’ 쓸어 담은 한국, 11개로 대회 이틀 만에 목표 조기 달성

대만, 영상에도 하루 78명 숨져…아열대 덮친 북극한파 3.

대만, 영상에도 하루 78명 숨져…아열대 덮친 북극한파

김길리 “제가 넘어져서” 눈물…최민정 “중압감 알기에 안아주기만” 4.

김길리 “제가 넘어져서” 눈물…최민정 “중압감 알기에 안아주기만”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관세 25% 부과하겠다” 5.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관세 25% 부과하겠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