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앞에서 열린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습 중단 촉구 촛불집회에서 이스라엘의 침공 직후 레바논에서 빠져나온 모녀가 레바논 국기와 ‘레바논 공습 중단’을 요구하는 그림을 펼쳐보이고 있다. 워싱턴/AP 연합
국제인권단체 “무차별적 폭격” 비난
이스라엘이 레바논의 민간인 시설 공격에 대량살상무기인 정밀유도폭탄을 무차별적으로 쏘아대는 것을 두고 전쟁범죄라는 비난이 연일 제기되고 있다.
국제 인권단체인 휴먼라이츠워치는 “이스라엘 국방부가 남부 레바논을 민간인과 군사시설 구분 없는 무제한 폭격 지역으로 여기고 있으며, 이는 전쟁범죄”라고 비판했다고 영국 <비비시>가 31일 보도했다. 이 단체는 카나 마을 참사에 대해 “이스라엘군이 사람들이 피신할 틈도 주지 않고 무조건 공격했으므로, 이번 사태는 이스라엘의 책임”이라고 지적했다.
휴먼라이츠워치는 특히 이스라엘이 사용하는 무기에 주목하고 있다. 이 단체는 이스라엘이 인명살상과 차량·구조물 파괴가 모두 가능한 이중목적 개량 재래식탄(DPICM) 종류인 ‘M483A1’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가디언>이 보도했다. 미국에서 생산된 ‘M483A1’은 대량살상무기인 정밀유도폭탄 중 하나다.
<뉴욕타임스>는 1일 이스라엘이 자국 군대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밀유도폭탄 중심의 공습을 선호한다고 보도했다. 지난 7월25일 이스라엘군 공습으로 숨진 유엔감시단원들도 카나 마을 공습에서 쓰였던 것과 같은 종류인 정밀유도폭탄 공격을 받고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22일치 <뉴욕타임스>는 미국 정부가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습 개시 뒤 정밀유도폭탄을 이스라엘에 서둘러 공급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박현정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