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레반 석방' 최대쟁점..협상 전망 엇갈려
'여성 先석방안' `군사작전 가능성' 제기
'여성 先석방안' `군사작전 가능성' 제기
아프가니스탄 한국인 피랍사태가 12일째를 넘기면서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탈레반이 30일 협상시한을 이틀 연장함에 따라 극적 돌파구가 마련될 지 주목된다.
특히 노무현 대통령의 특사로 현지에 체류중인 백종천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이 29일 하미드 카르자이 아프간 대통령을 면담한 직후 아프간 정부가 석방교섭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아프간 정부는 탈레반이 설정한 시한(30일 오후 4시30분)을 앞두고 추가 협상을 위해 시한연장을 요청, 4시간의 시간을 번데 이어 양측의 합의로 이틀간의 시한 연장을 이끌어낸 것으로 보인다.
인질들이 억류돼 있는 가즈니 주(州)의 미라주딘 파탄 주지사는 "무장세력이 탈레반 재소자 석방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협상시한을 이틀 연장하는데 합의했다"고 말했다.
아프간 무니르 망갈 내무차관은 로이터 통신에 '탈레반 죄수 석방'을 포함한 탈레반의 요구 등 "모든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탈레반측은 현재 아프간 정부가 자신들이 요구하는 탈레반 죄수 석방에 응하지 않을 경우 한국인 인질들을 살해하겠다는 요구를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다음달 1일까지 아프간 정부가 탈레반 죄수석방에 대해 기존보다 진전된 방안을 제시하고 한국 정부가 추가의 대가를 제공할 경우 인질 석방에 전향적인 입장을 보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탈레반측은 그동안 총 9차례 협상시한을 연장하면서 이미 자신들의 정치적 입장을 충분히 알리는 효과를 거둔데다 여자 인질들을 납치한 데 대해 아프간 내부 여론이 부정적이라는 점 등을 고려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그동안 하루씩 협상시한을 연장한 것과 달리 이번에는 이틀간 연장하는 모습을 보인 것은 백 특사가 체류하는 동안 자신들의 요구를 최대한 관철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하지만 수많은 미군의 생명을 담보로 하는 대 테러전을 수행하고 있는 미국이나 탈레반 죄수 석방에 여전히 소극적인 아프간 정부가 '탈레반 죄수 석방안'을 수용하지 않고 이에 탈레반측이 추가 인질 살해로 맞서는 등 상황이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외교소식통들은 보고 있다. 탈레반의 대변인을 자처하는 카리 유수프 아마디는 아프간 정부가 29일 오후부터 자신들과 접촉을 갖지 않았다고 밝히면서 정부측이 협상에 적극적인 의지를 갖고 있지 않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비난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아프간 정부 협상단의 일원인 가즈니 주 출신 국회의원 마흐무디 가일라니도 "현재로서는 협상에 진전이 없으며 아마 성공하지 못할 것같다"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탈레반 측은 지난 28일 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자신들의 요구를 "인질과 탈레반 동료 수감자들을 2, 3차례에 걸쳐 맞교환하는 것"으로 규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틀간의 협상에서 아프간 정부와 탈레반측이 '수감자 석방안'을 둘러싼 의견조율에 성공하지 못할 경우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22명의 한국 인질 가운데 여성을 우선 석방하는 방안이 한국과 아프간 정부, 그리고 석방교섭에 참여하고 있는 아프간 지방 원로들 사이에서 집중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하지만 탈레반측이 아프간 군 당국의 군사작전 가능성을 우려해 여성인질을 먼저 석방하는 방안을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아프간 정부측의 가일라니는 탈레반이 여성인질 선(先) 석방안을 거부했다고 말했다. 아프간 정부와 탈레반 간 석방교섭이 답보를 거듭할 경우 현지에 고위당국자들을 파견한 우리 정부가 독자적 채널을 통해 탈레반측과 접촉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백 특사는 전날 카르자이 아프간 대통령과의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 인질 석방을 위한 아프간 정부의 후속 대책과 탈레반측의 반응 등을 지켜본 뒤 필요할 경우 아프간 정부 당국자와 추가 협의를 하고 주중 귀국할 것으로 알려졌다. 석방교섭이 끝내 난항을 겪고, 추가 인질이 살해될 경우 아프간 정부가 무력을 동원한 인질 구출작전에 나설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일본의 NHK는 이미 아프간 정부가 군사작전에 대비해 특수부대 파견준비를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정부는 인질구출을 위한 군사작전을 전개할 경우 반드시 한국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우탁 기자 김상훈 강훈상 특파원 lwt@yna.co.kr (서울.뉴델리.두바이=연합뉴스)
특히 그동안 하루씩 협상시한을 연장한 것과 달리 이번에는 이틀간 연장하는 모습을 보인 것은 백 특사가 체류하는 동안 자신들의 요구를 최대한 관철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하지만 수많은 미군의 생명을 담보로 하는 대 테러전을 수행하고 있는 미국이나 탈레반 죄수 석방에 여전히 소극적인 아프간 정부가 '탈레반 죄수 석방안'을 수용하지 않고 이에 탈레반측이 추가 인질 살해로 맞서는 등 상황이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외교소식통들은 보고 있다. 탈레반의 대변인을 자처하는 카리 유수프 아마디는 아프간 정부가 29일 오후부터 자신들과 접촉을 갖지 않았다고 밝히면서 정부측이 협상에 적극적인 의지를 갖고 있지 않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비난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아프간 정부 협상단의 일원인 가즈니 주 출신 국회의원 마흐무디 가일라니도 "현재로서는 협상에 진전이 없으며 아마 성공하지 못할 것같다"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탈레반 측은 지난 28일 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자신들의 요구를 "인질과 탈레반 동료 수감자들을 2, 3차례에 걸쳐 맞교환하는 것"으로 규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틀간의 협상에서 아프간 정부와 탈레반측이 '수감자 석방안'을 둘러싼 의견조율에 성공하지 못할 경우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22명의 한국 인질 가운데 여성을 우선 석방하는 방안이 한국과 아프간 정부, 그리고 석방교섭에 참여하고 있는 아프간 지방 원로들 사이에서 집중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하지만 탈레반측이 아프간 군 당국의 군사작전 가능성을 우려해 여성인질을 먼저 석방하는 방안을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아프간 정부측의 가일라니는 탈레반이 여성인질 선(先) 석방안을 거부했다고 말했다. 아프간 정부와 탈레반 간 석방교섭이 답보를 거듭할 경우 현지에 고위당국자들을 파견한 우리 정부가 독자적 채널을 통해 탈레반측과 접촉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백 특사는 전날 카르자이 아프간 대통령과의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 인질 석방을 위한 아프간 정부의 후속 대책과 탈레반측의 반응 등을 지켜본 뒤 필요할 경우 아프간 정부 당국자와 추가 협의를 하고 주중 귀국할 것으로 알려졌다. 석방교섭이 끝내 난항을 겪고, 추가 인질이 살해될 경우 아프간 정부가 무력을 동원한 인질 구출작전에 나설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일본의 NHK는 이미 아프간 정부가 군사작전에 대비해 특수부대 파견준비를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정부는 인질구출을 위한 군사작전을 전개할 경우 반드시 한국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우탁 기자 김상훈 강훈상 특파원 lwt@yna.co.kr (서울.뉴델리.두바이=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