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중동·아프리카

‘지옥과 천당‘ 오간 피랍 가족들의 26일

등록 2007-08-13 22:14

잇단 최후통첩, 피살, 육성공개에 눈물의 자필편지, UCC로 대응
2명 우선석방 첫 결실.. 전원 석방때까지 구명노력

피랍사태 발생후 첫 석방까지 26일간의 인질극은 가족들에게 악몽과 같은 피말리는 시간의 연속이었다.

살얼음판을 걷듯 지옥과 천당을 오가는 하루 하루를 보냈지만, 가족들은 수차례에 걸친 통첩시한 연장과 피살, 육성.동영상 공개 등 탈레반의 옥죄기식 전략에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억류된 아내, 자식에게 보내는 자필편지와 국제사회의 도움을 요청하는 UCC(사용자 제작 콘텐츠)에 담긴 애끓는 가족애는 눈물겹다는 말로 밖에 설명할 수 없었다.

김지나, 김경자씨 등 여성인질 2명 우선석방이라는 첫 결실을 얻은 가족들은 나머지 피랍자 전원이 풀려날 때까지 구명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는 각오다.

◇피랍 비보, 살해위협 통첩..가족모임 구성해 대처

故 배형규(42)목사 등 샘물교회 봉사단 23명이 아프간 무장세력 탈레반에게 납치(7월 19일)된 사실이 확인된 지난달 20일.


차성민(30)씨를 대표로 한 가족모임을 꾸리고 안정을 찾을 쯤 탈레반은 '한국군 즉각 철수치 않을 경우 21일 오후 4시30분 인질 살해'라는 통첩을 보내왔고, 가족들의 숨가쁜 전쟁이 시작됐다.

협상시한이 다가오자 가족들은 21일 오후 즉각 철군을 요구하며 외교부를 항의방문하는 등 정부측와 마찰을 빚기도 했지만, 통첩시한이 22일 오후 11시30분으로 연장되자 한숨을 돌리며 석방에 대한 기대감을 키웠다.

22일과 23일, 탈레반의 통첩과 시한연장이 이어지면서 평정심을 되찾은 가족들은 선교가 아닌 봉사활동이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언론보도에 대응하고 정부측과의 협조속에 사태추이를 냉정히 지켜봤다.

가족들은 특히 아랍권 대표방송인 알자지라방송과 인터뷰, 가족들의 심경을 알리고 무사생환을 호소하며 협상의 측면지원에 적극 나서기 시작했다.

◇잇단 피살과 육성.동영상공개에 의연함 유지

피랍 7일째인 25일밤 봉사단을 인솔한 배 목사가 피살됐고 닷새뒤(30일) 싸늘한 시신으로 돌아왔다.

가족들을 배 목사의 시신을 도로변에 버린 탈레반의 잔혹성에 치를 떨었고 한때 극도의 공황상태로 빠졌다.

설마했던 희생에 가족들은 잠시 실의에 차 있었지만 배 목사의 유족들은 나머지 피랍자 22명의 석방때까지 장례를 미루겠다며 가족들에게 용기를 심어줬다.

27일 아프간 현지 인솔자 임현주(32.여)씨를 시작으로 국내외 언론을 통해 유정화(39), 김지나(32.여), 심성민(29). 이지영(37.여)씨 등의 구명을 요청하는 인터뷰 내용이 잇따라 나오고 12명의 동영상까지 알자지라방송을 통해 보도됐지만 가족들은 무대응으로 일관했다.

탈레반의 얕은 심리전에 휘말리지 않고 의연히 대처하겠다는 의지였다.

협상시한이 계속 연장되던 30일 새벽, 심성민(29)씨의 두번째 희생이 알려졌고 가족들은 다시 한번 동요했다.

가족들은 그러나 샘물교회 인근 분당서울대병원에 심씨의 빈소가 차려지고 영결식이 치러지는 사흘동안에도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지 않으려 애썼다.

배 목사와 심성민씨 유족 모두 시신기증을 결정해 일부 비판여론도 잠잠해졌다.

◇눈물의 편지, UCC 공개..국제사회에 눈물로 호소

피랍 11일째인 29일, 납치된 제창희(38)씨의 어머니가 '지혜롭게 행동하고 침착하게 이겨서 무사히 돌아오라'는 내용의 자필편지를 공개, 무사석방을 언론에 호소했다.

지난 1일에는 김윤영(35.여)씨의 남편 류행식(36)씨가 5일에는 서명화(29.여).경석(27)씨의 부모인 서정배(57).이현자(54.여)씨가 눈물의 편지를 썼다.

류씨는 이어 6일 미국 UCC 전문 사이트인 유튜브(http://www.youtube.com/)에 `To my dearest wife in Afganistan'이라는 제목으로 만든 동영상을 올렸다.

류씨는 "여보 많이 덥고 힘들지?. 당신은 너무 아파할텐데, 너무 힘들어 할텐데 내가 먹고 있는 것도, 자고 있는 것도 이렇게 내 자신이 싫고 미울 수 없다"며 안타까운 심정을 네티즌에게 호소했고, 다른 가족들의 UCC도 연이어 올려졌다.

"여보 사랑해. 정말 사랑해". 애타는 사부곡(思婦曲)의 맺음말은 전세계인의 심금을 울렸다.

협상의 직.간접 키를 쥐고 있는 미국과 이란 대사관 등을 찾고 아프간 직접방문을 추진하는 등 치열한 가족들의 구명 행보는 언제나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고대하던 석방..아직도 인질극은 현재진행형

탈레반이 제시한 마지막 협상시한이었던 지난 2일 오후 4시30분 이후 추가로 시한을 설정되지 않고 인질 살해 위협도 없는 소강상태가 며칠째 이어졌다.

피랍 24일째인 11일, 정부와 탈레반의 대면접촉 결과 인질들이 금명간 석방될 것이라는 외신보도가 나오며 가족들은 기대에 부풀었지만 가족들은 일희일비하지 않겠다며 차분하게 대응했고 석방을 놓고 보도의 혼선이 이어졌다.

마침내 13일밤 김경자, 김지나씨 등 여성인질 2명이 조국의 품에 안겨 인질석방의 물꼬를 텄다.

25일간의 보이지 않는 혈투 끝에 첫 열매를 얻은 가족들은 나머지 인질 모두가 석방돼 자신들이 비유했던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 가족모임사무실을 벗어날때까지 구명을 위한 고삐를 늦추지 않겠다는 다짐이다.

고 배형규 목사와 심성민씨의 유족들은 "우선 석방은 환영해야할 일이지만 나머지 피랍자들도 모두 풀려나야만 고인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을 것"이라며 인질극이 '현재진행형'임을 강조했다.

특히 샘안양병원에 배 목사의 시신을 안치중인 유족들은 전원석방으로 피랍사태가 마무리될 때까지 장례식을 계속 미루겠다고 밝혔다.

최찬흥 기자 chan@yna.co.kr (성남=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