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 정보 당국도 참여..퀘타 페샤와르 등지서 열려
아프가니스탄 정부와 아프간 반군인 탈레반 및 미국 등 3자가 파키스탄에서 평화협상을 진행중이며 이는 미국이 추진하는 아프간 경유 석유-가스 파이프라인 프로젝트와도 관련이 있다고 홍콩의 아시아타임스가 21일자 인터넷판에서 보도했다.
이 신문은 몇 주 전 리처드 바우처 미 국무부 차관보에 이어 내달 10일 존 네그로폰테 국무부 부장관도 다시 파키스탄을 방문하기로 돼 있다면서 이 3자대화가 아프간의 미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이 신문은 또 이미 탈레반과 아프간 및 미국의 3자 대화가 파키스탄 남서부 도시 퀘타에서 시작됐다면서 이 회의 결과에 따라 네그로폰테 부장관이 참여하는 2차 평화협상의 의제가 정해질 것이고 동시에 미국이 벌이는 '테러와의 전쟁'의 진로가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3자 평화협상은 아프가니스탄 일부 지역에서 파키스탄의 중재로 미국 및 서방 진영과 아프간 저항세력이 평화협상을 모색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현재 서방 진영과 탈레반 저항세력은 탈레반을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및 지방정부에 참여시키기 위한 장기 목표를 갖고 협상을 진행중이라는 것이다.
아시아타임스는 또 지난해 아프간 남서부의 칸다하르, 헬만드, 자불 및 우르즈간 주 등지에서도 탈레반과 다국적군 사이에 비슷한 협상이 진행돼 칸다하르와 헬만드 주 등지에서는 제한적이나마 일부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이번에 새로 시작된 탈레반과 미국 및 아프간 정부 사이의 3자 평화협상은 과거에 시도됐던 평화협상 노력을 되살리면서 평화협상 노력을 아프간 남동부의 쿠나르와 호스트 주 지역으로까지 확대하는 것이라고 신문은 설명했다. 3자 대화에는 탈레반 사령관들과 아프가니스탄 정부 관계자들, 미국 및 파키스탄 정보당국자들이 참여한다고 아시아타임스는 밝혔다. 이 신문은 또 현재 물라 만수르 총사령관이 이끌고 있는 탈레반이 3자 평화협상을 위해 이미 퀘타에 머물고 있으며 앞으로 협상이 진행될 장소는 페샤와르 및 파키스탄 북부 와지리스탄 지역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만수르는 지난 5월 미국의 공습으로 숨진 것으로 알려진 탈레반 사령관 물라 다둘라의 동생으로 한국인 인질 납치사건의 배후로 지목됐던 인물이다. 아시아타임스는 미국과 파키스탄 정보당국이 관여하는 이번 3자 평화협상은 미국이 투르크메니스탄 석유 및 가스를 아프간을 거쳐 파키스탄까지 실어 나르기 위해 추진하는 100억 달러 규모의 TAP프로젝트와 동시에 진행되는 것으로 3자 평화협상 결과가 수송관 사업 추진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수송관은 칸다하르와 헤라트 지역을 경유한다. 강진욱 기자 kjw@yna.co.kr (서울=연합뉴스)
따라서 이번에 새로 시작된 탈레반과 미국 및 아프간 정부 사이의 3자 평화협상은 과거에 시도됐던 평화협상 노력을 되살리면서 평화협상 노력을 아프간 남동부의 쿠나르와 호스트 주 지역으로까지 확대하는 것이라고 신문은 설명했다. 3자 대화에는 탈레반 사령관들과 아프가니스탄 정부 관계자들, 미국 및 파키스탄 정보당국자들이 참여한다고 아시아타임스는 밝혔다. 이 신문은 또 현재 물라 만수르 총사령관이 이끌고 있는 탈레반이 3자 평화협상을 위해 이미 퀘타에 머물고 있으며 앞으로 협상이 진행될 장소는 페샤와르 및 파키스탄 북부 와지리스탄 지역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만수르는 지난 5월 미국의 공습으로 숨진 것으로 알려진 탈레반 사령관 물라 다둘라의 동생으로 한국인 인질 납치사건의 배후로 지목됐던 인물이다. 아시아타임스는 미국과 파키스탄 정보당국이 관여하는 이번 3자 평화협상은 미국이 투르크메니스탄 석유 및 가스를 아프간을 거쳐 파키스탄까지 실어 나르기 위해 추진하는 100억 달러 규모의 TAP프로젝트와 동시에 진행되는 것으로 3자 평화협상 결과가 수송관 사업 추진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수송관은 칸다하르와 헤라트 지역을 경유한다. 강진욱 기자 kjw@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