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피랍자 19명의 전원석방 조건 중 하나로 연내에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키로 한 한국군 동의.다산부대는 인도적 구호활동을 위해 파병된 부대다.
정부는 9.11 테러 이후 미국이 대대적인 테러세력 소탕을 위해 아프간을 공격한 이후인 2002년 9월 국군의료지원단(동의부대)을, 2003년 2월에는 건설공병지원단(다산부대)를 각각 파병했다.
아프간에서 인도적 차원의 구호 및 진료 활동, 평화재건을 지원하는 국제적 연대에 동참해 세계 평화와 안정에 기여한다는 목적으로 부대를 파병한 것이다.
동의.다산부대 장병들은 그동안 6개월 단위를 임무교대를 해왔으며 현재는 지난 4월 파병된 동의부대 11진과 다산부대 9진 등 210여 명의 장병들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들 동의.다산부대는 카불 동북쪽에 있는 미군기지인 바그람기지에 머물며 아프간에 파병된 동맹군에 대한 의료, 공병 임무 지원과 함께 현지주민들에 대한 인도적 차원의 대민지원과 구호활동을 펼쳐왔다.
특히 60여 명으로 구성된 동의부대는 파병 이래 최근까지 24만여 명의 환자 진료기록을 세우며 '사랑의 인술'로 폐허가 된 아프간에 희망과 감동을 심어주고 있다.
또 150여 명의 다산부대도 전후 아프간 재건을 위해 건설 및 토목공사, 한.미 연합 지방재건단(PRT) 지원, 대민지원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PRT는 지방정부의 능력개발과 재건, 경제분야 발전을 위한 핵심역할을 수행하는 미 국무부 주도의 다국적 종합 민사팀을 말한다.
다산부대는 그동안 바그람 기지 내 비행장 활주로 보수와 부대 방호시설, 주변 도로 보수.확장 등 330여 건의 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미군 공병조차 수행해본 경험이 없는 7m 높이의 차양대를 한낮 기온이 40도에 육박하는 기상조건과 하루에도 수 차례씩 거센 열사 풍까지 몰아치는 환경을 극복하고 공사를 마무리해 미 육군의 공로훈장을 받기도 했다. 동의.다산부대는 이 같은 임무 외에도 태권도 교실, 한글교실 등을 운영하면서 지역주민과 친화관계를 유지해 동맹군과 지역주민에게 좋은 평가를 얻고 있다. 그러나 지난 2월에는 다산부대 소속 고(故) 윤장호 하사가 주둔지인 바그람 기지 앞에서 임무를 수행하다 폭탄테러로 희생되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었다. 피랍자 석방조건으로 동의.다산부대를 연내에 철군하기로 한 것과 관련, 군 고위 관계자는 "군은 예정대로 동의.다산부대를 연말에 철군하는 것으로 안다"며 "이 같은 입장은 처음부터 그랬고, 그쪽(탈레반)에서도 받아들인 안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4월 파병된 동의부대 11진과 다산부대 9진은 오는 10월 초 6개월간의 파병기간을 채웠음에도 불구하고 연내 철군계획에 따라 교대병력과의 임무교대 없이 현지에 머물다 최종 철군 될 것으로 전해졌다. 이귀원 기자 lkw777@yna.co.kr (서울=연합뉴스)
다산부대는 그동안 바그람 기지 내 비행장 활주로 보수와 부대 방호시설, 주변 도로 보수.확장 등 330여 건의 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미군 공병조차 수행해본 경험이 없는 7m 높이의 차양대를 한낮 기온이 40도에 육박하는 기상조건과 하루에도 수 차례씩 거센 열사 풍까지 몰아치는 환경을 극복하고 공사를 마무리해 미 육군의 공로훈장을 받기도 했다. 동의.다산부대는 이 같은 임무 외에도 태권도 교실, 한글교실 등을 운영하면서 지역주민과 친화관계를 유지해 동맹군과 지역주민에게 좋은 평가를 얻고 있다. 그러나 지난 2월에는 다산부대 소속 고(故) 윤장호 하사가 주둔지인 바그람 기지 앞에서 임무를 수행하다 폭탄테러로 희생되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었다. 피랍자 석방조건으로 동의.다산부대를 연내에 철군하기로 한 것과 관련, 군 고위 관계자는 "군은 예정대로 동의.다산부대를 연말에 철군하는 것으로 안다"며 "이 같은 입장은 처음부터 그랬고, 그쪽(탈레반)에서도 받아들인 안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4월 파병된 동의부대 11진과 다산부대 9진은 오는 10월 초 6개월간의 파병기간을 채웠음에도 불구하고 연내 철군계획에 따라 교대병력과의 임무교대 없이 현지에 머물다 최종 철군 될 것으로 전해졌다. 이귀원 기자 lkw777@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