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수비대 등 금융거래 전면 봉쇄…이란 “전략적 실수”
미국은 25일 이란 국방부와 혁명수비대 등에 대해 이라크와 중동의 테러 단체를 지원하고 미사일을 판매하며 핵활동을 한 혐의로 새로운 제재안을 발표했다.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과 헨리 폴슨 재무장관은 이날 이란 국방부와 혁명수비대, 이란 금융기관에 대해 미국 국민들과 미국의 국익을 보호하기 위해 제재를 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라이스 장관은 성명에서 “제재안에 따라 미국 국민이나 기관들은 제재 대상에 포함된 이란인이나 이란 기관과 금융거래를 할 수 없다”며 “이러한 조처들이 이란 정부의 불법활동으로부터 국제금융시스템을 보호하고 이란 정부와 거래를 하고 있는 모든 국제은행이나 회사들에 강력한 억제책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이들 제재대상 기관들이 아프가니스탄 탈레반과 이라크 시아파 저항세력 등에 무기와 폭발물을 제공하고 미국이 테러단체로 규정한 하마스와 헤즈볼라 등에 미사일을 판매해왔다고 주장했다. 앞서 라이스 장관은 전날 의회 증언에서 이란과 이란의 핵프로그램 개발 의혹이 미국의 안보에 가장 큰 도전이 되고 있다며 “미국은 국제사회와 함께 이란 체제의 위험에 맞서기 위해 행동할 것”이라고 경고했었다.
이번 제재안은 1979년 테헤란 미국대사관 인질사건으로 미국이 이란과 국교를 단절한 이후 가장 강력한 제재조처로 평가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지난 8월 이란 혁명수비대 전체에 대해 테러단체 지정 의사를 밝혔으나 유럽 국가들과 국무부 및 재무부 일부 관료의 반대에 부닥친 바 있으며, 이후 미국 상원이 지난달 말 이란 혁명수비대의 테러단체 지정을 미국 국무부에 촉구하는 결의안을 76 대 22로 채택하는 등 이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돼 왔다.
이에 대해 이란은 “미국은 전략적 실수를 범한 것”이라고 반발했다. 이란 의회 외교·안보위원회 대변인 카젬 잘랄리는 이날 “혁명수비대는 이란의 정규군인데 이를 테러 조직으로 치부한 것은 주권국가의 내정 간섭”이라며 “이런 식이라면 세계 각국에서 무고한 사람을 다치게 하는 미군이 바로 테러리스트”라고 비난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보도했다. 연합뉴스
이에 대해 이란은 “미국은 전략적 실수를 범한 것”이라고 반발했다. 이란 의회 외교·안보위원회 대변인 카젬 잘랄리는 이날 “혁명수비대는 이란의 정규군인데 이를 테러 조직으로 치부한 것은 주권국가의 내정 간섭”이라며 “이런 식이라면 세계 각국에서 무고한 사람을 다치게 하는 미군이 바로 테러리스트”라고 비난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보도했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