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으로부터 꼭 60년 전인 1947년 11월29일.
유엔 총회는 당시 영국 위임통치령이었던 팔레스타인 영토를 유대 국가(이스라엘)와 아랍국가(팔레스타인)로 나누는 결의안 181호를 가결한다.
영국이 제안한 이 결의안은 아랍권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찬성 33대 반대 13(기권 10, 불참 1)이라는 표차로 통과된다.
이 결의안의 골자는 19세기 말부터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해 온 소수민족 유대인에게 2만6천320㎢에 달하는 팔레스타인 영토의 56%를 주고 나머지 43%를 아랍민족에게 배분하는 것.
1947년 기준 유대민족은 60만여명(팔레스타인 영토내 인구의 33%)으로 아랍 민족의 절반에 지나지 않았지만 유엔 결의안으로 더 넓은 영토를 차지하게 된다. 유대교와 이슬람 모두에게 종교적으로 중요하고도 민감한 지역인 예루살렘과 베들레헴은 국제관리지구로 지정됐다.
`안방'을 빼앗긴 팔레스타인 민족의 `대(對)이스라엘 영토수복 투쟁'이 시작되던 순간이었다. 조상 대대로 살아 온 터전을 이어받았을 뿐인데 유엔결의 181호로 순식간에 `소수 아닌 소수'로 전락해 버린 셈이다.
이들이 맞서 싸워야 했던 상대는 단순히 이방에서 이주한 소수 유대민족이 아니었다. 초강대국 미국과 `홀로코스트'로 부채의식이 있는 유럽 강대국의 지원을 받는 이스라엘이라는 `거대한 벽'에 부딪혀야 했다.
이스라엘은 유엔 결의 181호에 만족하지 않았다. 19세기 말부터 팔레스타인 영토에 정착하기 시작한 유대 민족은 `사마리아와 유대땅(솔로몬왕 이후 분리한 남이스라엘, 즉 유대왕국) 끝까지' 영토를 끊임없이 원했다. 2천여년 전 구약성서에 나와 있는 옛 이스라엘 영토를 모두 회복하길 바랐던 것이다.
이들 유대민족의 건국 목표는 ▲민족적으로 유대인으로만 이뤄진 국가 ▲통치형태로 민주 공화정 ▲영토상으로 성서에 기록된 팔레스타인 영토 100% 회복 등 크게 3가지였다. 특히 이스라엘 건국 초기 지도자들은 정통 시오니즘에 입각한 민족주의 우파 진영이었던 탓에 팔레스타인 독립국가로 분리하는 것보다 팔레스타인 민족을 내쫓고 영토를 장악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하지만 이스라엘 영토가 넓어질 수록 팔레스타인 난민수는 점점 늘어갔고 이들과 마찰은 깊어졌다. 영토를 모두 차지하자니 유대인만의 국가는 요원해지고 팔레스타인을 동등한 시민으로 인정하고 유대인만으로 민주 공화정을 세우자니 팔레스타인에 국가를 설립할 수 있는 영토를 떼줘야 했다. 결국 유대민족의 3대 건국 목표는 동시에 모두를 가질 수 없는, 처음부터 갈등의 불씨를 안은 욕심이었던 셈이다.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60년간 이어진 이스라엘의 정치사는 이들 세 가지 목표 가운데 어떤 것을 취하고 버릴 것인 지의 `선택의 역사'라고 볼 수 있다. 그 선택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 팔레스타인 난민 추방 정책이 추진되기도 했고 유대 정착촌이 건설되기도 했으며 영토 내 2개 독립국가 설립안이 제시되기도 했다. `탱크' 이스라엘에 맞선 `돌팔매' 수준의 저항이긴 했지만 팔레스타인 역시 영토 수복 투쟁을 주장하는 강경파와 이스라엘과 공존을 모색하는 온건파가 이합집산을 거듭하는 60년을 보냈다. 중동을 화약고로 만든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불씨가 된 유엔 결의안 181호가 의결된 지 60년이 된 2007년 11월29일. 우연히도 미국 정부의 주도하에 아나폴리스 중동평화회의가 열렸다. 이번 회의에선 주목할 만한 성과는 나오지 않았지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2개 국가로 나뉘어 평화 공존을 하자는 공동 선언이 채택됐다. 60년을 돌고 돌아 두 국가로 분리해 같이 살자는 결의안 181호의 `원안'으로 다시 돌아오고 말았다. 그동안 팔레스타인은 원래 영토의 80%를 이스라엘에 내줘야 했다. 이날 가자지구를 점령한 팔레스타인 강경 정파인 하마스의 발표가 눈에 띈다. 하마스는 "유엔은 즉시 60년 전 의결한 결의안 181호를 되돌려야 한다"며 "팔레스타인을 분리한다는 결의안 181호는 이후 벌어진 모든 고통과 재앙의 시작점이었다"고 주장했다. 역사는 가정법이 없다고 하지만 60년 전의 일까지 되돌리고 싶어하는 팔레스타인인의 바람은 이렇게 간절하다. 강훈상 특파원 hskang@yna.co.kr (두바이=연합뉴스)
이들 유대민족의 건국 목표는 ▲민족적으로 유대인으로만 이뤄진 국가 ▲통치형태로 민주 공화정 ▲영토상으로 성서에 기록된 팔레스타인 영토 100% 회복 등 크게 3가지였다. 특히 이스라엘 건국 초기 지도자들은 정통 시오니즘에 입각한 민족주의 우파 진영이었던 탓에 팔레스타인 독립국가로 분리하는 것보다 팔레스타인 민족을 내쫓고 영토를 장악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하지만 이스라엘 영토가 넓어질 수록 팔레스타인 난민수는 점점 늘어갔고 이들과 마찰은 깊어졌다. 영토를 모두 차지하자니 유대인만의 국가는 요원해지고 팔레스타인을 동등한 시민으로 인정하고 유대인만으로 민주 공화정을 세우자니 팔레스타인에 국가를 설립할 수 있는 영토를 떼줘야 했다. 결국 유대민족의 3대 건국 목표는 동시에 모두를 가질 수 없는, 처음부터 갈등의 불씨를 안은 욕심이었던 셈이다.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60년간 이어진 이스라엘의 정치사는 이들 세 가지 목표 가운데 어떤 것을 취하고 버릴 것인 지의 `선택의 역사'라고 볼 수 있다. 그 선택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 팔레스타인 난민 추방 정책이 추진되기도 했고 유대 정착촌이 건설되기도 했으며 영토 내 2개 독립국가 설립안이 제시되기도 했다. `탱크' 이스라엘에 맞선 `돌팔매' 수준의 저항이긴 했지만 팔레스타인 역시 영토 수복 투쟁을 주장하는 강경파와 이스라엘과 공존을 모색하는 온건파가 이합집산을 거듭하는 60년을 보냈다. 중동을 화약고로 만든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불씨가 된 유엔 결의안 181호가 의결된 지 60년이 된 2007년 11월29일. 우연히도 미국 정부의 주도하에 아나폴리스 중동평화회의가 열렸다. 이번 회의에선 주목할 만한 성과는 나오지 않았지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2개 국가로 나뉘어 평화 공존을 하자는 공동 선언이 채택됐다. 60년을 돌고 돌아 두 국가로 분리해 같이 살자는 결의안 181호의 `원안'으로 다시 돌아오고 말았다. 그동안 팔레스타인은 원래 영토의 80%를 이스라엘에 내줘야 했다. 이날 가자지구를 점령한 팔레스타인 강경 정파인 하마스의 발표가 눈에 띈다. 하마스는 "유엔은 즉시 60년 전 의결한 결의안 181호를 되돌려야 한다"며 "팔레스타인을 분리한다는 결의안 181호는 이후 벌어진 모든 고통과 재앙의 시작점이었다"고 주장했다. 역사는 가정법이 없다고 하지만 60년 전의 일까지 되돌리고 싶어하는 팔레스타인인의 바람은 이렇게 간절하다. 강훈상 특파원 hskang@yna.co.kr (두바이=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